2013년 2월 2일 토요일

코사인 적분(Cosine Integral)

[경고] 아래 글을 읽지 않고 "코사인 적분"을 보면 바보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1. 지수 적분
2. 사인 적분


[그림 1] 코사인 적분(출처: wikipedia.org)

식 (1)에 있는 사인 적분(sine integral)의 정의를 이용해 식 (2)의 코사인 적분 $\text{ci}(\cdot)$(cosine integral)을 새롭게 만들어 보자.

                       (1)

                       (2)

식 (1)의 사인 적분은 다음과 같은 미분 방정식(differential equation)을 만족했다. 코사인 적분도 동일한 미분 방정식을 만족할까?

                       (3)

사인 적분에 대한 미분 방정식 증명과 마찬가지로 코사인 적분도 여러 번 미분을 해서 관계식을 만들어보자.

                       (4)

식 (4)에 의해 코사인 적분도 사인 적분과 동일하게 아래 미분 방정식을 만족한다.

                       (5)

식 (1), (2)와 같은 정의는 적분의 점근식(asymptote)을 유도할 때 유용하다. 따라서, 코사인 적분의 경우에도 사인 적분 유도 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점근식을 만들어보자.

                       (6)

그러면 최종 점근식은 다음처럼 표현된다.

                       (7)

식 (2)처럼 코사인 적분 구간을 $x$에서 무한대로 정의할 수도 있지만, 0에서 $x$까지로도 정의할 수 있다. 하지만 $x$가 0 가까이로 가면 발산하는 문제가 있다. 이 특성은 다음처럼 증명할 수 있다.

                       (8)

그래서 0에서 $x$까지 가는 적분으로 코사인 적분을 정의하려면 특별한 조치가 필요하다. 이 과정을 위해 먼저 아래 지수 적분(exponential integral)을 생각하자.

                      (9)

                         (10)

                         (11)

식 (10)으로 인해 전체 복소 평면(complex plane)에서 지수 적분은 로그 함수의 특이성을 가지므로 아래와 같은 가지 자름(branch cut)을 정의해야 한다.

[그림 2] 로그 함수를 위한 가지 자름

그러면 복소 평면에서 지수 적분은 다음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12)

신기하게도 복소 영역에서 지수 적분은 사인 적분(sine integral)과 코사인 적분의 합으로 표현된다. 식 (12)의 정의식을 식 (10)에 대입해 정리해보자.

                         (13)

여기서 $x > 0$이다. 만약 $x < 0$인 경우는 식 (13)과 비슷하게 증명해서 $E_1(ix)$ = $-\operatorname{ci}(x) - i \operatorname{si}(x)$를 얻을 수 있다.
그러면 코사인 적분은 다음처럼 새롭게 정의될 수도 있다.

                         (14)

식 (14)처럼 코사인 적분이 0에서 $x$로 정의된 경우는 소문자가 아닌 대문자를 이용해 $\text{Ci}(\cdot)$로 표현한다. 특히 식 (14)에 있는 적분을 강조하여 코사인 적분 $\text{Cin}(\cdot)$(Cosine integral)을 다음처럼 표현하기도 한다.

                         (15)

                         (16)

코사인 적분을 표현하는 이름이 $\text{ci}(x), \text{Ci}(x), \text{Cin}(x)$와 같이 다양함도 꼭 기억하자.


   1. 기본(basics)   

[대칭성(symmetry)]

                         (1.1)

                         (1.2)

여기서 $x > 0$이다.

[증명]
식 (16)과 [그림 2]에 있는 로그 함수의 가지 자름을 고려해서 다음처럼 유도한다.

                         (1.3)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참고문헌]
[2] J. D. Mahony, "On alternative evaluation of the integrals $\text{Cin}(z)$ and $\text{Si}(z)$," IEEE Antennas Propag. Mag., vol. 56, no. 2, pp. 156–160, April 2014.

2013년 2월 1일 금요일

사인 적분(Sine Integral)

[경고] 아래 글을 읽지 않고 "사인 적분"을 보면 바보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1. 적분법의 의미
2. 테일러 급수
3. 미분 방정식의 의미
4. 지수 적분


[그림 1] 사인 적분(출처: wikipedia.org)

피적분 함수가 사인 함수(sine function)로 구성된 적분(integration) 중에서 가장 유명한 적분은 아마 다음의 사인 적분 $\text{Si}(\cdot)$(Sine integral)이다.

                       (1)

사인 적분이 중요한 이유는 피적분 함수가 표본화 함수(sampling function) $\text{Sa}(x)$이기 때문이다.

                       (2)

사인 적분의 의미를 찾기 위해 표본화 함수로 만든 다음 적분을 고려한다.

                       (3)

                       (4)

여기서 $\operatorname{rect}(\cdot)$는 구형 함수(rectangular function) 혹은 사각 함수, $\mathfrak{F}[f(t)]$는 $f(t)$의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이다. 식 (3)과 (4)처럼 표본화 함수의 적분 구간이 무한대이면 적분값을 정확히 구할 수 있다. 다만 식 (3)의 증명에는 고급 개념인 푸리에 변환의 쌍대성(duality)이 필요하다. 만약 적분 구간이 식 (1)처럼 유한하다면 어떻게 될까? 여기에 대한 답이 바로 식 (1)의 사인 적분이다. 식 (1)의 적분값은 사인 함수의 테일러 급수(Taylor series)를 이용해 쉽게 구할 수 있다.

                         (5: 삼각 함수의 합차 공식)

                       (6)

식 (6)은 사인 함수에 대한 적분 결과이므로 식 (6)의 무한 급수(infinite series)는 모든 영역에서 수렴한다. 하지만 이 부분은 수학적으로만 맞는 말이고 실제 수치 계산에서는 맞지 않다. $x$가 커지면 무한 급수의 항이 빠르게 커져 매우 많은 항을 합쳐 주어야 수렴하게 된다. 그래서 수치 계산을 효율적으로 하려면 사인 적분의 점근식(asymptote)이 필요하다. 사인 적분의 점근식을 구하기 위해 식 (4)와 부분 적분(integration by parts)을 이용한다.

                       (7)

식 (7)의 과정을 계속 반복하면 다음 결과식을 얻을 수 있다.

                     (8)

다음으로 사인 적분이 만족하는 미분 방정식(differential equation)을 찾아본다. 찾는 법은 비교적 간단하다. 사인 적분을 미분하여 계수를 서로 비교하면 쉽게 관계되는 미분 방정식을 만들 수 있다.

                       (9)

세 번 미분한 관계식을 한 번과 두 번 미분한 관계식과 연립할 수 있어서 다음 미분 방정식의 해는 사인 적분이 된다.

                       (10)

어차피 적분해서 식 (2)의 표본화 함수가 나오면 식 (10)의 미분 방정식을 만족하므로, 새로운 사인 적분을 다음처럼 정의할 수 있다.

                       (11)

식 (7)을 참고하면 식 (11)의 정의는 점근식 유도에 매우 유용하다. 사인 적분 간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12)

식 (4)에 소개한 이상 적분(improper integral)은 신기하게도 수렴한다. 하지만 아래 절대값을 가진 적분은 발산한다[2]. 식 (4)와 (5)의 예는 절대값 유무에 따라 적분값이 수렴 혹은 발산하는 좋은 예이다.

                       (13)

식 (13)의 증명은 의외로 간단하다. 식 (13)의 적분 구간 일부를 다음과 같은 수열로 표현한다.

                (14)

수열 $a_n$은 조화 급수(harmonic series)의 항보다 항상 크고 조화 급수는 발산하므로 식 (13)은 발산한다.


   1. 기본(basics)   

[대칭성(symmetry)]

                         (1.1)

                         (1.2)

[증명]
식 (11)에서 적분 구간을 바꾸면 다음과 같다.

                         (1.3)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특정값(specific value)과 극한(limit)   

[표본화 함수(sampling function)]
사인 적분의 피적분 함수인 표본화 함수의 영점(zero)은 $x$ = $0$을 제외한 $\sin(x)$ = $0$에서 구한다.

                         (2.1)

비슷하게 표본화 함수의 극값이 나오는 극단점(極端點, extreme point or local extremum point)은 다음과 같다.

                         (2.2)

[표 2.1] 표본화 함수의 극단점, $p_m$(출처: wolframalpha.com)
극단점, $p_m$극단점의 계산값
$p_0$0
$p_1$4.49340945790906417530788092728032208222$\cdots$
$p_2$7.72525183693770716419506893306298662638$\cdots$
$p_3$10.9041216594288998271487027901886838721$\cdots$

표본화 함수의 극단점은 $x$ = $0$을 제외하고는 쉽게 구할 수 없어서, 수치 해석으로 근 찾기(root searching or finding)를 해야 한다. 우함수(even function) 특성으로 인해 극단점은 $x$ = $\pm p_m$에서 생긴다. 또한 $x$가 커짐에 따라 $p_m$ = $\pi/2 + m \pi$에 수렴한다.

[그림 2.1] 표본화 함수의 제곱이 1/2(출처: wolframalpha.com)

표본화 함수의 제곱이 1/2로 나오는 $x$값은 공학 분야에 빈번하게 쓰인다.

             (2.3)

예를 들면, 안테나의 복사 패턴을 수치로 보여주는 빔폭(beamwidth) 정의에 식 (2.3)이 유용하게 사용된다.


   3. 이상 적분(improper integration)   

[표본화 함수(sampling function)]

                         (3.1)

[증명]
부분 적분을 먼저 적용한 후에 식 (4)를 가져온다.

                         (3.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표본화 함수는 특이하게도 자기 자신의 적분과 제곱한 적분의 결과가 서로 동일하다.


[참고문헌]
[2] Andrés Caicedo, "175 - The sine integral," Teaching Blog, 2008.
[3] J. D. Mahony, "On alternative evaluation of the integrals $\text{Cin}(z)$ and $\text{Si}(z)$," IEEE Antennas Propag. Mag., vol. 56, no. 2, pp. 156–160, April 2014.

[다음 읽을거리]
1. 코사인 적분

2013년 1월 30일 수요일

다이폴 안테나의 복사 저항(Radiation Resistance of a Dipole Antenna)

[경고] 아래 글을 읽지 않고 "다이폴 안테나의 복사 저항"을 보면 바보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1. 가장 쉬운 안테나 이론
2. 안테나의 복사저항
3. 헤르츠 다이폴
4. 다이폴 안테나
5. 코사인 적분

[확인] 본 페이지는 exp(jωt) 시간 약속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림 1]에 있는 다이폴 안테나(dipole antenna)입력 임피던스(input impedance)을 규정하는 중요한 양이 복사 저항(radiation resistance)이다. 안테나의 복사 저항을 구하려면 먼저 원역장(far-field) 복사 패턴을 구해야 한다.

[그림 1] 다이폴 안테나

다이폴 안테나(dipole antenna)의 복사 패턴(radiation pattern)은 헤르츠 다이폴(Hertz dipole)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 복사식을 이용해서 다음처럼 구한다.

                       (1)

                       (2)

여기서 $l$은 다이폴의 길이이다. 식 (1)의 복사 패턴을 이용해 다이폴 안테나의 복사 전력(radiated power)을 구하자.

                       (3)

식 (3)은 수치 적분(numerical integration)을 통해 구할 수도 있지만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half-wave dipole antenna)인 경우는 간단하게 적분할 수 있다.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복사 패턴인 식 (4)를 식 (3)에 대입해서 복사 전력에 대한 적분을 얻는다.

                       (4)

                   (5)

식 (5)에는 특수 함수인 식 (6)의 코사인 적분(cosine integral)이 등장한다.

                       (6)

따라서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복사 전력은 다음처럼 표현된다.

                        (7)

식 (7)의 관계식을 통해 복사 저항을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8)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복사 저항은 실무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림 2] 동축선(출처: wikipedia.org)

실험에 많이 쓰이는 [그림 2]의 동축선을 보자. 실무에 사용하는 동축선의 특성 임피던스(characteristic impedance)는 주로 50 혹은 75 Ω을 가진다. 만약 동축선의 특성 임피던스를 75 Ω으로 택하면, 임피던스 정합 회로(impedance matching circuit)가 없더라도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를 거의 반사(reflection)없이 동축선과 연결할 수 있어 전체 회로 구조가 매우 단순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