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4월 16일 일요일

수치 미분(Numerical Differentiation)

[경고] 아래 글을 읽지 않고 "수치 미분"을 보면 바보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림 1] 여러 가지 차분 방법(출처: wikipedia.org)

미분 공식을 이용해서 어떤 종류의 함수든지 미분을 할 수 있지만, 컴퓨터를 사용해서 미분을 근사할 때는 다음과 같은 차분(差分, difference)을 사용한다.

                  (1)

여기서 $x$의 차분 $h$가 0으로 한없이 접근하면 차분은 미분이 된다. 식 (1)은 현재점 $x$를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한 $x+h$의 함수값으로 차분을 구해서 전방 차분(forward difference) $\Delta_f$라 부른다. 이 차분과 $h$의 나눗셈은 차분 몫(difference quotient)이면서 미분의 근사 혹은 수치 미분(numerical differentiation)이 된다. 비슷하게 후방에 있는 $x-h$ 점에서 시작해 구한 차분은 당연히 후방 차분(backward difference) $\Delta_b$가 된다.

                  (2)

혹은 점 $x$의 앞과 뒤에 있는 함수값의 차분을 써서 중앙에서 구한 차분을 만들기도 한다.

                  (3a)

여기서 첫째식의 분자는 중앙 차분(central difference) $\Delta_c$, 둘째식의 분자는 대칭 차분(symmetric difference) $\Delta_s$로 이름 붙인다. 중앙 차분에서 중앙값 $y(x)$는 양쪽 끝값의 평균으로 근사하기도 한다. 이 근사를 쓰지 않으려면 함수 관계로 $y(x)$를 직접 계산하거나 문제 조건에서 $y(x)$를 예측해야 한다.

                  (3b)

반면에 대칭 차분은 $y(x)$를 이미 알고 있어서 식 (3b)가 필요없다. 왜냐하면 간격 $h$를 기준으로 $y(x-h)$, $y(x)$, $y(x+h)$는 이미 주어지기 때문이다.
전방 차분 몫의 오차는 테일러 급수(Taylor series)를 이용해서 쉽게 구할 수 있다.

           (4)

여기서 $y$ = $f(x)$, $h \ll 1$이다. 식 (4)는 일종의 근사라서 마음에 쏙 들지 않는다. 미분에 대한 평균값의 정리(mean value theorem)에서 출발해 식 (4)를 더 엄격하게 표현한다[1].

                  (5a)

                  (5b)

여기서 $x \le \xi \le x+h$이다. 식 (5a)의 결과는 제1차 잉여항(remainder term)을 포함한 테일러 급수(Taylor series)와 동일하다. 비슷한 방식으로 대칭 차분 몫의 오차도 공식화된다.

                  (6)

테일러 급수를 이용한 분석에 따라, $y$ = $f(x)$가 부드럽게 변하는 경우에 중앙이나 대칭 차분 몫이 전방이나 후방 차분 몫보다 훨씬 더 미분값에 가깝다.

[그림 2] 차분 $h$에 대한 수치 미분 오차의 변화(출처: wikipedia.org)

이 시점에서 고민할 부분은 $h$의 선택이다. 미분 정의에 가까우려면 가능한 한 $h$를 작게 택해야 한다. 하지만 현실에서 $h$를 얼마나 작게 할 수 있을까? 여기서 말하는 현실은 컴퓨터로 계산할 때이다. 수치 계산에는 기계 엡실론(machine epsilon)이라는 나름 창의적인 개념이 있다. 0이 아닌 양수인 기계 엡실론 $\varepsilon$은 수치 계산 관점에서 $1+\varepsilon$과 $1$을 다르게 만드는 가장 큰 실수이다. 수학에서는 당연히 $1+\varepsilon$과 $1$이 다르지만, 컴퓨터는 유한한 유효 숫자로 이진수를 만들어서 계산하므로 컴퓨터 구조마다 고유한 기계 엡실론이 존재한다.

[그림 3] 이중 정밀도의 비트 분포(출처: wikipedia.org)

예를 들어, 요즘 사용되는 컴퓨터는 실수 계산을 할 때에 기본적으로 이중 정밀도(double precision)인 64 비트(bit)를 사용한다. 예전에는 단일 정밀도인 32 비트를 주로 사용했다. 이중 정밀도의 비트 분포는 [그림 3]에서 볼 수 있다. C 언어의 실수 자료형(data type)에서 단일 정밀도는 float, 이중 정밀도는 double로 칭한다. [그림 3]에 따라 컴퓨터가 쓰는 이중 정밀도 실수가 가진 유효 숫자(有效數字, significant figure)는 52 비트를 가진다. 이 52 비트는 항상 1.으로 시작하는 이진 소수의 유효 숫자라서 가장 낮은 소수 자리수는 소수점 이하 52번째이다. 그래서 지수(exponent)가 0인 이중 정밀도 실수에서, 1과 가장 가까운 이진수는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1이 된다. 따라서 이중 정밀도의 기계 엡실론은 $\varepsilon$ = $2^{-52}$ =  2.22044604925031$\cdots \times 10^{-16}$이다. 그러면 $h$ = $\varepsilon$인 경우가 가장 최적의 수치 미분을 얻게 하는가? [그림 2]의 결과를 보면, 우리 예상과는 다르게 $\varepsilon$보다 훨씬 큰 $h$를 선정해야 한다. 수치 미분의 오차를 최대로 줄이는 $h$를 구하기 위해, 컴퓨터로 함수를 계산할 때에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반올림 오차(round-off error)를 기계 엡실론 개념으로 근사화한다.

                  (7)

여기서 $\varepsilon_1$ = $\varepsilon_1(x)$, $\varepsilon_2$ = $\varepsilon_2(x, h)$,  $\widetilde{f}(x)$는 $x$에서 계산한 반올림 오차를 반영한 함수값, $f(x)$는 정확한 함수값이다. 식 (7)을 식 (1)에 대입해서 반올림 오차를 가진 수치 미분을 구한다[1].

                  (8)

여기서 $h$는 매우 작아서 $f(x+h)$ $\approx$ $f(x)$이다. 식 (8)을 다시 식 (5b)에 넣어서 수치 미분의 오차 $E (h)$와 최대 오차 $E_{\max}(h)$를 표현한다.

                  (9)

여기서 $|\varepsilon_2 - \varepsilon_1| \le 2 \varepsilon$, $\varepsilon$는 이중 정밀도의 기계 엡실론, $f(\xi)$와 $f^{(2)}(\xi)$는 $x \le \xi \le x+h$에서 거의 상수이면서 0은 아니라고 가정한다. 식 (9)의 둘째식을 미분해서 0이 되는 값이 바로 최적의 $h$인 $h_\text{opt}$이다[1].

                  (10)

함수 $f(x)$마다 $h_\text{opt}$는 다르지만, 편하게 근사하기 위해 보통 $h_\text{opt}$ $\approx$ $2 \sqrt{\varepsilon}$ $\approx$ $3 \times 10^{-8}$으로 생각한다. 이 결과는 [그림 2]에 보이는 $h_\text{opt}$를 잘 설명한다.


   1. 기본(basics)   

[정의]

                  (1.1)

독립 변수 $x$의 차분인 $h$가 같은 간격으로 변하는 경우의 차분을 정의하기 위해 식 (1.1)을 빈번하게 사용한다.

[선형 사상(線型寫像, linear mapping)]

                  (1.2)

모든 종류의 차분에 대해 선형 사상이 항상 성립한다.

[곱의 차분]

                  (1.3a)

                  (1.3b)

여기서 $f_{m+0.5}$ = $(f_m + f_{m+1})/2$, $f_{m-0.5}$ = $(f_{m-1} + f_{m})/2$이다.

[증명]
함수 곱을 식 (1.1)에 넣고 정리해서 식 (1.3)을 증명한다. 나머지 차분도 동일하게 접근할 수 있다.

                  (1.4a)

                  (1.4b)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식 (1.3b)의 마지막식은 차분 연산에 빈번하게 쓰이는 유용한 공식이다. 다만 좌변과 완벽히 같지는 않기 때문에, $h$가 0에 매우 가깝다는 조건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1] K. Mørken, Chapter 11. Numerical Differentiation, Numerical Algorithms and Digital Representation, University of Oslo, Norway, Nov. 2010. (방문일 2023-04-16)
[2] F. B. Hildebrand, Introduction to Numerical Analysis, 2nd ed., New York, USA: Dover Publications, 1987.

[다음 읽을거리]

댓글 없음 :

댓글 쓰기

욕설이나 스팸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전파거북이]는 선플운동의 아름다운 인터넷을 지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