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4월 6일 토요일

원의 방정식(Equation of Circle)

[경고] 아래 글을 읽지 않고 "원의 방정식"을 보면 바보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1. 삼각 함수
2. 미분법의 의미
3. 좌표계 기반 벡터
4. 유클리드 기하학


모든 도형 중에서 가장 완전한 도형은 [그림 1]의 (圓, circle)이다. 중심(center)에서 거리(반지름: radius)가 같은 모든 점을 모은 원은 모난 각 없이 모든 위치에서 완벽하게 동일한 곡률을 가진다. 유클리드 기하학(幾何學, Euclidean geometry)[1]에 나오는 주요 도형도 직선(直線, straight line)과 원이다.

[그림 1] 원의 모양(출처: wikipedia.org)

원의 정의를 이용해 원의 방정식을 써보면 다음과 같다.

                      (1)

여기서 원의 중심은 $(a, b)$, 반지름은 $r$이다.

[그림 2] 사인과 코사인 함수(출처: wikipedia.org)

원의 방정식을 [그림 2]의 삼각 함수(trigonometric function)를 이용해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2)

여기서 $\phi$는 원을 그리기 위한 매개변수로 0에서 $2\pi$까지 변할 수 있다.


[그림 3] 원의 둘레 길이(출처: wikipedia.org)

원의 둘레 길이인 원주(圓周, circumference) $C$는 적분법(integration)을 이용해 다음처럼 구할 수 있다.

                       (3)

식 (2)를 고려해 $x$ = $r \cos \phi$, $y$ = $r \sin \phi$를 식 (3)에 대입하면 쉽게 $C$ = $2 \pi r$을 증명할 수 있다.

[그림 4] 원의 면적(출처: wikipedia.org)

원의 면적 $A$도 적분법 기반으로 다음처럼 계산할 수 있다.

                       (4)

[그림 5] 양파 껍질의 모양(출처: wikipedia.org)

[그림 6] 양파 껍질 적분법의 원리(출처: wikipedia.org)

양파 껍질 적분법(onion skin integration)을 적용하면 원의 면적은 식 (3)의 원 둘레 길이를 이용해 다음처럼 계산된다.

                      (5)

여기서 생각할 문제가 하나 있다. 인류의 역사와 함께 했던 원의 둘레 길이가 왜 이렇게 쉽게 계산될까? 그건 바로 다음의 라디안(radian) 정의 때문이다.

                        (6)

여기서 $l$은 호의 길이(arc length), $r$은 반지름(radius), $\theta$는 라디안으로 정의한 각도이다. 식 (19)의 우변은 라디안 $\theta$를 $360^\circ$ 기준 $\vartheta$로 바꾸는 식이다. $\theta$ = $\pi$ rad을 대입하면 $\vartheta$ = $180/\pi \cdot \pi$ = $180^\circ$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식 (6)을 보면 라디안에 원의 둘레 길이 의미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라디안을 이용해 식 (3)처럼 둘레 길이를 계산하기는 동어 반복일 수 있다.

[그림 7] 원주율을 고민하는 아르키메데스(출처: wikipedia.org)

그러면 라디안을 쓰지 않고 어떻게 원의 둘레 길이를 계산할까? 아르키메데스Archimedes of Syracuse(대략 기원전 287–212)가 제안한 다음 다각형 근사법을 써보자.

[그림 8] 아르키메데스의 다각형 근사법(출처: wikipedia.org)


원에 내접과 외접하는 정$n$각형인 경우 원의 둘레 길이 $C$는 다음 부등식을 만족한다.

                        (7)

여기서 $\phi_{\rm tot}$는 원을 한 바퀴 돈 각도인 $360^\circ$이다. 식 (7)에서 $n$을 무한대로 보내면[혹은 $\phi_n \to 0$] 다음으로 표현할 수 있다.

                        (8)

또한 $\phi \to 0$일 때 $\cos \phi \to 1$임은 분명하므로 $\sin \phi / \phi$는 어떤 유한한 값으로 수렴해야 한다.[∵ 기하학적으로 원의 둘레 길이가 하나의 값으로 정해짐은 확실하다.] 디안은 이 값을 1로 둔 경우이다. 라디안 관점으로 $360^\circ$는 $\phi_{\rm tot}$ = $2 \pi$이다. 결과적으로 원주율(圓周率, ratio of circumference) $\pi$는 다음의 관계식을 이용해 구할 수 있다.

                        (9)

여기서 사인값과 탄젠트값은 정$n$각형에 대한 삼각 함수표로 구한다. 만약 $n$= $4$인 경우는 원주율을 간단히 어림할 수 있다.

                        (10)

혹은 $n$ = $10$이면 $3.0902 < \pi < 3.2492$가 되어 정사각형 경우보다 원주율을 더 정확하게 어림할 수 있다. 즉, $n$이 커질수록 더 정확한 원주율을 구할 수 있다.

식 (1)과 (2)의 원의 방정식을 이용하면 기본 도형인 원의 다양한 성질을 쉽게 증명할 수 있다.

[그림 9] 원의 접선(출처: wikimedia.org)

[원의 접선(tangent to a circle)]
원의 접선은 항상 원에 수직이다.

[증명: 원의 방정식]
미분법(differentiation)을 이용하면, 중심이 $(0, 0)$인 원 위의 점 $(x, y)$에서의 접선[그림 9의 선분 $\overline{CA}$]은 다음 기울기를 가진다.

                        (11)

중심 $O$ = $(0, 0)$에서 원 위의 점 $(x, y)$로 가는 벡터(vector)를 $\bar p$ = $(x, y)$라 하면 접선 벡터 $\bar t$ = $(1, -x/y)$는 벡터 $\bar p$에 항상 수직이다.

                        (12)

 
[동영상: 원의 접선 정리 증명]

[증명: 기하학]
귀류법(歸謬法, contradiction)을 적용하기 위해 [그림 9]의 $\angle OCA$가 수직이 아니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어떤 점 $A$에서 수직이 된다. 이 점 $A$는 원 바깥에 있으므로 $\overline{OC} < \overline{OA}$가 성립한다. 하지만 수직의 정의에 의해 $\overline{OA}$는 점 $O$에서 접선으로 가는 최소 거리여야 한다. 이는 오류이므로 $\angle OCA$는 반드시 수직이어야 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탈레스의 철학]

[그림 10] 탈레스의 정리(출처: wikipedia.org)

[탈레스의 정리(Thales' theorem)]
지름을 이루는 두 점과 원 위의 점이 이루는 삼각형은 직각 삼각형이다.


[증명: 원의 방정식]
중심이 (0, 0), 반지름이 $r$인 원을 고려하자. [그림 10]에서 $\overline{AB}^2 + \overline{BC}^2$이라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13)

여기서 $A$ = $(-r, 0)$, $B$ = $(x, y)$, $C$ = $(r, 0)$이다. 식 (13)은 피타고라스의 정리(Pythagorean Theorem)을 의미하므로 $\triangle ABC$는 직각 삼각형이다.

[증명: 기하학]
증명을 위해 아래 그림을 고려하자.
[그림 11] 탈레스 정리의 증명(출처: wikipedia.org)

원의 특성으로 인해 변의 길이가 같아 $\triangle OAB$, $\triangle OBC$는 이등변 삼각형이다. 삼각형 $\triangle ABC$를 보면 $2 (\alpha + \beta)$ = $180^\circ$이므로 $\alpha + \beta$ = $90^\circ$이 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그림 12] 바다에서 바라본 수평선(출처: wikipedia.org)

원의 방정식은 우리 머리 속에만 있을까? 아니다. 원과 직선을 포함한 기하학은 우리 주변을 설명하는데 매우 좋은 논리적인 도구이다. 예를 들면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 증명에 원 특성을 사용할 수 있다. 쉽게 말하면 복잡한 과학 관측을 하지 않더라도 단순 기하학적 논증을 통해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을 찾을 수 있다. 둥근 지구는 고대 그리스에서도 잘 알려진 사실이었다. 둥근 지구 증명을 위해 [그림 13]과 같은 수평선 관측 사고 실험을 해보자.

[그림 13] 원 상의 수평선 관측

먼저 수평선 관측을 위해 지표면에 높이 $h$가 되는 탑을 세우자. 우리가 관측하는 수평선은 $(0, y_h)$를 지나 원에 접하는 접선의 접점 $(x_0, y_0)$이다. 탑 높이 $h$에 대한 수평선의 변화를 추적하면 지구 반지름 특성을 대략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식 (11)을 이용해 다음 결과를 유도하자.

                        (14)

식 (14)에 의해 탑을 높이 쌓을수록 $x_0$가 커지기 때문에 수평선은 더 멀리까지 관측된다. 이는 우리 경험에도 부합하는 상식적인 결과이다. 만약 지구가 평평하다면 이런 결과가 생기지 않는다.[밤하늘의 별을 보면 아주 멀리서 오는 빛도 육안으로 잘 관찰된다.] 따라서 지구가 둥근 구라는 기하학적 가설을 이용해, 높은 곳에서 수평선을 관측할 때 수평선이 더 멀리 보이는 경험적 사실을 잘 설명할 수 있다. 즉 현상의 세심한 관찰과 수학적 논리를 써서 그 속에 숨어있는 과학적 사실을 명쾌히 규명할 수 있다.

[그림 14] 원으로 표현한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distance from a point to a line)]
점 $(x_0, y_0)$에서 직선 $ax+by+c$ = $0$ 사이의 거리 $d$는 다음과 같다.

                              (32)

여기서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는 최단 거리 혹은 수직인 거리로 정한다.

[증명]
[그림 14]에 의해 거리 $d$는 원의 반지름 $r$과 동일하다. 직선 $ax+by+c$ = $0$은 원의 접선이므로 식 (11)에 따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33)

법선 벡터 $\bar n$을 만들기 위해 직선도 $a(x-x_1) + b(y-y_1)$ = $0$처럼 바꾼다. 여기서 $c$ = $-(ax_1 + by_1)$, $\bar n$ = $(a, b)$이다. 그러면 벡터 $\bar v$ = $(x_1, y_1) - (x_0, y_0)$는 $\bar n$에 평행하므로, $\bar v$ = $-k \bar n$이라 쓸 수 있다. 두 벡터 $\bar n, \bar v$의 크기를 고려하면, 스칼라 $k$의 크기는 $|k|$ = $r/\sqrt{a^2 + b^2}$이 된다. 따라서 원의 반지름은 다음 관계를 만족한다.

                              (34)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원과 반지름 개념을 도입하면 유명한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문제를 더욱 쉽게 해결할 수 있다.

[원의 유리형 매개변수] [2]

                              (35)

여기서 $x^2 + y^2$ = $1$, $t$ = $\sec \phi - \tan \phi$, $-1 \le t \le 1$이다.

[증명]
식 (35)에 $t$ = $\sec \phi - \tan \phi$를 대입해서 정리한다.

                              (36)

각도 $\phi$ = $\phi/2$에서는 $t$가 존재하지 않지만, 이 각도 근방에서는 $t$ = $0$으로 잘 정의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식 (2)는 원을 그리는 유일한 매개변수가 아니며, 식 (35)처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Euclid, Elements, 300 BC. (Java 기반 설명)
[2] 김영훈, "공간의 분류와 대칭성 [2]: 기하학자의 꿈", HORIZON, 2018년 4월. (방문일 2024-01-18)

[다음 읽을거리]
1. 포물선의 방정식
2. 타원의 방정식

댓글 15개 :

  1. 좋은정보감사합니다 에르키메데스의 근사법으로 원주를 구하는법을 고민하다가 겨우 낸결론이 sin표를 활용하는법이었는데. 확인할방법이없어서 답답했는데 올리신글보고 가슴이 뻥뚫리네요 그런데 아르키메데스시절에 sin값들을 계산할수있었나요??만약당시 싸인값계산이어려웠다면아르키메데스는 96각형을. 일일이 실측했을까요??

    답글삭제
    답글
    1. 삼각 함수 개념은 그리스 이전인 이집트와 바빌로니아 시절부터 존재했습니다. 따라서 지금처럼 완벽하지는 않아도 특정 각도에 대한 비율 관계는 알고 있었겠지요.

      또한 기하학의 좋은 점 중의 하나가 그려서 재어보면 알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정성만 기울이면 충분히 특정 각도의 사인값은 얻을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정96각형도 초등적인 방법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먼저 끼인 각이 30도가 되는 선분을 그린 후 각이 1/2이 되게 계속 작도합니다. 3번만 하면 30/8 = 3.75도가 됩니다. 3.75도란 각은 정96각형의 $\phi_n$이므로 측정을 통해 sin, tan값을 정할 수 있습니다.

      삭제
  2. 제가잘몰라서 질문인데요 혹시 degree=phi/180라디안 아닌지요

    답글삭제
    답글
    1. 제시하신 공식과는 반대입니다. ${\rm Degree} = \frac{180}{\pi}{\rm Radian}$로 사용해야 합니다. 라디안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 참고하세요.

      http://ghebook.blogspot.kr/2010/12/trigonometric-function.html

      삭제
    2. 180 Degree = Pi Radian 이니까 1 Degree = Pi/180 Radian

      삭제
    3. Radian = 180/Pi Degree 로 쓸려고 한듯.
      단순 실수를 인지 못하는 brain의 blind spot 이랄까? 다들 이런 경험 한번쯤은 해 보죠?

      삭제
    4. Angle in degrees = angle in radians * 180 / Pi 라고 써야 혼동을 피할듯.

      삭제
    5. 식 (3)을 단위 변환이 아닌 함수 형태로 표시하다 보니 오해될 소지가 컸네요. 본문을 다시 바꾸었습니다, 익명님. ^^

      삭제
  3. 안녕하세요. 식 (7)의 부등식은 어떻게 유도 되나요?

    답글삭제
    답글
    1. 원에 내접하는 정$n$각형과 외접하는 정$n$각형의 둘레 길이 범위에 원의 둘레 길이가 있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원에 [그림 8]처럼 정$n$각형을 그리고 삼각 함수로 둘레 길이를 계산하면 됩니다.

      삭제
  4. 마치 잘풀어준 백과사전 같아서 잘보았습니다

    답글삭제
  5. 안녕하세요. 항상 블로그글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궁금한게 있어서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식(3)에서 미분소를 dx로 만드셨는데..
    x = rcosϕ 일 때 dx = -rcosϕdϕ 가 되어서 마지막 풀이과정에서 -가 붙어서 원주 C=-2πr이 나오게 되더군요..
    ϕ가 증가할수록 x가 감소하기 때문에 -가 붙는건 당연한 것 같지만
    원주가 -가 되는건 말이 안되기 때문에 곰곰히 생각해보니..
    풀이과정 중간에 루트가 씌어진 부분에서 dx가 튀어나올 때 -가 붙어야 양수가 되기 때문에 -dx로 튀어나와야 하지않나요?
    제가 수학을 너무 못해서 정말 기초적인 부분도 궁금하게 되네요...
    원을 이렇게 적분하는것도 처음보고ㅜㅜ

    답글삭제
    답글
    1. dhdntnpt님, 지적 정말 감사합니다. 으TL
      절대값이 되어야 하는데, 빠졌었네요. 수정했습니다. ^^

      삭제

욕설이나 스팸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전파거북이]는 선플운동의 아름다운 인터넷을 지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