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4월 6일 토요일

포물선의 방정식(Equation of Parabola)

[경고] 아래 글을 읽지 않고 "포물선의 방정식"을 보면 바보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포물선(抛物線, parabola)은 물건을 하늘로 던질 때 중력(gravity)속도(velocity)가 만드는 물체의 궤적이다. [그림 1]은 분수가 물을 하늘로 쏠 때 나타나는 포물선 형태를 보여준다.

[그림 1] 분수가 만드는 포물선(출처: wikipedia.org)

[그림 2] 포물선의 기하학적 정의(출처: wikipedia.org)

포물선은 기하학적으로 [그림 2]처럼 정의한다. 초점(focus) $\bar F$ = $(0, f)$에서 점 $\bar P_i$ = $(x_i, y_i)$까지 거리가 점 $\bar P_i$에서 준선(準線, directrix) $L$[$y$ = $-f$]까지 거리와 같은 점을 모두 모으면 포물선이 된다. 준선은 2차 곡선을 정의하거나 생성할 때 쓰이는 기준선이다. 이를 방정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1)

여기서 $(x, y)$는 포물선 위의 점이며 $f$[= $1/(4a)$]는 포물선의 초점이다.

[그림 3] 원뿔로 만드는 포물선(출처: wikipedia.org)

[그림 3]에 소개한 초보적인 기하학을 이용해 포물선을 정의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아폴로니우스Apollonius of Perga(대략 기원전 240–190)에 의해 제안되었다. 먼저 [그림 3]에서 원뿔(cone)의 꼭지점을 $A$라 한다. 다음에 원뿔을 잘라 두 개의 원[짙은 파란색]을 만든다. 첫번째 원은 선분 $\overline{PK}$를 지름($2r$)으로 가진다. 두번째 원은 선분 $\overline{BC}$가 지름이다. 원뿔 바깥선과 평행하게 선분 $\overline{PM}$ = $y$을 그어 선분 $\overline{MC}$ = $2r$이 되게 한다. 선분 $\overline{PM}$은 원뿔 바깥선과 평행이므로 $\angle PBM$ = $\angle PMB$가 성립하여 $\triangle PBM$은 이등변 삼각형이 된다. 선분 $\overline{PM}$이 원뿔 기준선[점 $A$에서 두번째 원에 내린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를 $\theta$라 하면 $\overline{BM}$ = $2 y \sin \theta$가 된다. 또한 선분 $\overline{DE}$ = $2x$는 반지름이 $r$인 원에 접하므로 이 원에 수직이며, 탈레스의 정리(Thales' theorem)에 의해 $\angle BEC$도 수직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2)

식 (1)을 고려하면 포물선의 초점은 $f$ = $r \sin \theta$가 된다.

[그림 4] 새로운 준선을 가진 포물선(출처: wikipedia.org)

관점을 좀 바꾸어보면 [그림 2]의 준선은 [그림 4]처럼 바꿀 수 있다. [그림 4]의 준선 $M$은 초점 $\bar F$ = $(0, f)$의 아래가 아닌 초점 위에 있다. 예를 들어, 준선 $M$이 $y$ = $g$[$g > 0$]에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그림 2]와 [그림 4]에 있는 준선 $L$과 $M$ 간의 거리는 항상 $\overline{Q_i P_i} + \overline{P_i R_i}$ = $|g - (-f)|$ = $|f + g|$가 된다. [그림 2]의 결과에 의해 $\overline{Q_i P_i}$ = $\overline{F P_i}$이기도 하다. 따라서 [그림 4]의 경우에도 초점에서 준선까지 가는 거리는 항상 일정하므로, 식 (1)과 같은 포물선의 방정식을 다음처럼 얻을 수도 있다.

                       (3)

여기서 $f > 0$, $y < g$이다. 준선이 양의 $y$축에 있더라도 포물선의 방정식은 식 (1)과 동일하게 얻어진다. 또한 $g$가 0보다 크기만 하면, $g$에 관계없이 초점과 준선 사이의 거리는 항상 동일하다. 별것 아닌 [그림 4]의 개념이 현존하는 반사판 안테나(reflector antenna) 혹은 조명 기구의 기본적인 원리이다.

[그림 5] 포물형 반사판 안테나(출처: wikimedia.org)

[그림 6] 태양열 조리기(출처: wikipedia.org)

[그림 7] 자동차의 전조등(출처: wikipedia.org)

[그림 5–7]은 포물선의 원리를 적용한 여러 제품을 보여준다. [그림 5]는 포물형 반사판 안테나(parabolic reflector antenna)이다. 급전부(feed)는 포물선의 초점에 있다. 급전부에서 나온 전자파는 포물형 금속 반사판에서 반사되어 준선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전달된다. 이게 고이득 안테나를 만드는 일반 원리가 된다. [그림 6]은 태양열 조리기(solar cooker)의 예를 보여준다. 태양빛이 포물형 거울 반사판에서 반사되어 초점에 집속된다. 초점에 조리기를 두면 태양열이 강하게 집속되어 요리가 가능하다. [그림 7]은 자동차의 전조등(headlight)이다. 초점 위치에 광원을 두고 포물형 거울 반사판에 쏘면 대부분의 빛이 전방으로 강하게 전달된다.

[그림 8] 포물선의 반사 원리(출처: wikipedia.org)

그러면 [그림 5–7]의 동작 원리를 간단한 포물선 개념으로 설명한다. 이를 위해 [그림 8]에 제시한 포물면의 반사 특성을 계산해야 한다. 준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광선(ray)이 들어온다고 생각한다. 이 광선과 포물면이 이루는 각도는 $\alpha$이다. 또한 [그림 2]와 같이 음의 $y$축에 있는 준선 위의 점을 $C$라 한다. 그러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해 삼각형 $\triangle ECF$는 이등변 삼각형이다.[∵ 초점에서 포물선 점 $(x, y)$의 거리와 포물선 점 $(x, y)$과 준선까지 거리는 항상 같다.] 선분 $\overline{CF}$와 $\overline{EB}$가 수직임을 증명하기 위해 식 (1)에 있는 포물선의 방정식을 이용한다.

                       (4)

여기서 $\bar T$는 접선의 기울기이다. 삼각형 $\triangle ECF$는 이등변 삼각형이면서 선분 $\overline{EB}$는 선분 $\overline{CF}$에 수직하므로 $\angle FEB$ = $\angle CEB$가 된다. 즉, 준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들어온 광선은 입사각과 동일한 각도로 반사되어 초점으로 들어간다. 이런 성질은 빛에 대한 금속면 반사 법칙과 동일하다. 그래서, 포물형 반사판에 반사된 빛은 초점에 모두 모인다.

[그림 9] 유한한 포물선의 모양

포물선이 복잡하기는 하지만 [그림 9]의 $D, d$를 알면 쉽게 포물선 상수 $a$ 혹은 초점 $f$를 결정할 수 있다.

                        (5)

식 (5)는 지름 $D$, 깊이 $d$를 가진 유한한 포물선을 측정하여 포물선 상수 $a$와 초점 $f$를 결정하기 위한 가장 쉬운 방법이다. 예를 들어 [그림 9]와 같은 포물선은 다음 식처럼 표현된다.

                       (6)

식 (6)으로부터 $x$ = $D/2$이면 당연히 $y$ = $d$가 나온다. 만약 포물선이 놓여있는 지름 위치[$x$의 범위 = $(-D/2, D/2)$]가 $y$ = $0$이 된다면 포물선의 방정식은 다음처럼 바뀐다.

                       (7)

식 (7)에서 $x$ = $\pm D/2$이면 $y$ = $0$이 된다.
포물선의 표현에 사용한 식 (1)은 2차 곡선을 정의하거나 분류할 때 사용하는 이심률(離心率, eccentricity)의 정의이다. 식 (1)과 동일하게, 초점 $\bar F$에서 2차 곡선 위의 점 $\bar P$까지 거리와 준선(準線, directrix)에서 $\bar P$까지 거리의 비율을 이용해 이심률을 다음처럼 정의한다.

                   (8)

여기서 $L$은 준선에서 $\bar P$까지 거리이다. 식 (8)에 의해 포물선의 이심률은 1이다.

[그림 10] 회전한 포물선(출처: wikipedia.org)

[그림 10]처럼 포물선이 회전한 경우는 포물선의 방정식이 식 (1)처럼 간단히 표현되지 않는다.  [그림 10]의 기하 구조에 대해, 식 (1)과 같은 논리로 거리를 계산한다.

                  (9)

여기서 포물선 위의 점은 $(x, y)$, 초점은 $\bar F$ = $(f_x, f_y)$, 준선은 $ax+by+c$ = $0$, 준선과 포물선의 거리는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사용, 나머지 항을 담아놓은 함수는 직선처럼 $F(x, y)$ = $Ax + By + C$로 선택한다. 식 (9)에서 유추하여 포물선이 될 수 있는 임의의 2차 곡선은 다음 형태를 가진다.

                  (10)

여기서 $D$는 원뿔 곡선의 판별식(discriminant of conic section)이다. 신기하게도 원뿔 곡선의 판별식은 2차 방정식의 판별식과 부호만 다르고 완전 동일하다. 만약 판별식이 $D$ = $0$으로 나오면, 이 2차 곡선은 [그림 10]과 같은 회전한 포물선이 된다.

[다음 읽을거리]
1. 쌍곡선의 방정식

원의 방정식(Equation of Circle)

[경고] 아래 글을 읽지 않고 "원의 방정식"을 보면 바보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1. 삼각 함수
2. 미분법의 의미
3. 좌표계 기반 벡터
4. 유클리드 기하학


모든 도형 중에서 가장 완전한 도형은 [그림 1]의 (圓, circle)이다. 중심(center)에서 거리(반지름: radius)가 같은 모든 점을 모은 원은 모난 각 없이 모든 위치에서 완벽하게 동일한 곡률을 가진다. 유클리드 기하학(幾何學, Euclidean geometry)[1]에 나오는 주요 도형도 직선(直線, straight line)과 원이다.

[그림 1] 원의 모양(출처: wikipedia.org)

원의 정의를 이용해 원의 방정식을 써보면 다음과 같다.

                      (1)

여기서 원의 중심은 $(a, b)$, 반지름은 $r$이다.

[그림 2] 사인과 코사인 함수(출처: wikipedia.org)

원의 방정식을 [그림 2]의 삼각 함수(trigonometric function)를 이용해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2)

여기서 $\phi$는 원을 그리기 위한 매개변수로 0에서 $2\pi$까지 변할 수 있다.


[그림 3] 원의 둘레 길이(출처: wikipedia.org)

원의 둘레 길이인 원주(圓周, circumference) $C$는 적분법(integration)을 이용해 다음처럼 구할 수 있다.

                       (3)

식 (2)를 고려해 $x$ = $r \cos \phi$, $y$ = $r \sin \phi$를 식 (3)에 대입하면 쉽게 $C$ = $2 \pi r$을 증명할 수 있다.

[그림 4] 원의 면적(출처: wikipedia.org)

원의 면적 $A$도 적분법 기반으로 다음처럼 계산할 수 있다.

                       (4)

[그림 5] 양파 껍질의 모양(출처: wikipedia.org)

[그림 6] 양파 껍질 적분법의 원리(출처: wikipedia.org)

양파 껍질 적분법(onion skin integration)을 적용하면 원의 면적은 식 (3)의 원 둘레 길이를 이용해 다음처럼 계산된다.

                      (5)

여기서 생각할 문제가 하나 있다. 인류의 역사와 함께 했던 원의 둘레 길이가 왜 이렇게 쉽게 계산될까? 그건 바로 다음의 라디안(radian) 정의 때문이다.

                        (6)

여기서 $l$은 호의 길이(arc length), $r$은 반지름(radius), $\theta$는 라디안으로 정의한 각도이다. 식 (19)의 우변은 라디안 $\theta$를 $360^\circ$ 기준 $\vartheta$로 바꾸는 식이다. $\theta$ = $\pi$ rad을 대입하면 $\vartheta$ = $180/\pi \cdot \pi$ = $180^\circ$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식 (6)을 보면 라디안에 원의 둘레 길이 의미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라디안을 이용해 식 (3)처럼 둘레 길이를 계산하기는 동어 반복일 수 있다.

[그림 7] 원주율을 고민하는 아르키메데스(출처: wikipedia.org)

그러면 라디안을 쓰지 않고 어떻게 원의 둘레 길이를 계산할까? 아르키메데스Archimedes of Syracuse(대략 기원전 287–212)가 제안한 다음 다각형 근사법을 써보자.

[그림 8] 아르키메데스의 다각형 근사법(출처: wikipedia.org)


원에 내접과 외접하는 정$n$각형인 경우 원의 둘레 길이 $C$는 다음 부등식을 만족한다.

                        (7)

여기서 $\phi_{\rm tot}$는 원을 한 바퀴 돈 각도인 $360^\circ$이다. 식 (7)에서 $n$을 무한대로 보내면[혹은 $\phi_n \to 0$] 다음으로 표현할 수 있다.

                        (8)

또한 $\phi \to 0$일 때 $\cos \phi \to 1$임은 분명하므로 $\sin \phi / \phi$는 어떤 유한한 값으로 수렴해야 한다.[∵ 기하학적으로 원의 둘레 길이가 하나의 값으로 정해짐은 확실하다.] 디안은 이 값을 1로 둔 경우이다. 라디안 관점으로 $360^\circ$는 $\phi_{\rm tot}$ = $2 \pi$이다. 결과적으로 원주율(圓周率, ratio of circumference) $\pi$는 다음의 관계식을 이용해 구할 수 있다.

                        (9)

여기서 사인값과 탄젠트값은 정$n$각형에 대한 삼각 함수표로 구한다. 만약 $n$= $4$인 경우는 원주율을 간단히 어림할 수 있다.

                        (10)

혹은 $n$ = $10$이면 $3.0902 < \pi < 3.2492$가 되어 정사각형 경우보다 원주율을 더 정확하게 어림할 수 있다. 즉, $n$이 커질수록 더 정확한 원주율을 구할 수 있다.

식 (1)과 (2)의 원의 방정식을 이용하면 기본 도형인 원의 다양한 성질을 쉽게 증명할 수 있다.

[그림 9] 원의 접선(출처: wikimedia.org)

[원의 접선(tangent to a circle)]
원의 접선은 항상 원에 수직이다.

[증명: 원의 방정식]
미분법(differentiation)을 이용하면, 중심이 $(0, 0)$인 원 위의 점 $(x, y)$에서의 접선[그림 9의 선분 $\overline{CA}$]은 다음 기울기를 가진다.

                        (11)

중심 $O$ = $(0, 0)$에서 원 위의 점 $(x, y)$로 가는 벡터(vector)를 $\bar p$ = $(x, y)$라 하면 접선 벡터 $\bar t$ = $(1, -x/y)$는 벡터 $\bar p$에 항상 수직이다.

                        (12)

 
[동영상: 원의 접선 정리 증명]

[증명: 기하학]
귀류법(歸謬法, contradiction)을 적용하기 위해 [그림 9]의 $\angle OCA$가 수직이 아니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어떤 점 $A$에서 수직이 된다. 이 점 $A$는 원 바깥에 있으므로 $\overline{OC} < \overline{OA}$가 성립한다. 하지만 수직의 정의에 의해 $\overline{OA}$는 점 $O$에서 접선으로 가는 최소 거리여야 한다. 이는 오류이므로 $\angle OCA$는 반드시 수직이어야 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탈레스의 철학]

[그림 10] 탈레스의 정리(출처: wikipedia.org)

[탈레스의 정리(Thales' theorem)]
지름을 이루는 두 점과 원 위의 점이 이루는 삼각형은 직각 삼각형이다.


[증명: 원의 방정식]
중심이 (0, 0), 반지름이 $r$인 원을 고려하자. [그림 10]에서 $\overline{AB}^2 + \overline{BC}^2$이라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13)

여기서 $A$ = $(-r, 0)$, $B$ = $(x, y)$, $C$ = $(r, 0)$이다. 식 (13)은 피타고라스의 정리(Pythagorean Theorem)을 의미하므로 $\triangle ABC$는 직각 삼각형이다.

[증명: 기하학]
증명을 위해 아래 그림을 고려하자.
[그림 11] 탈레스 정리의 증명(출처: wikipedia.org)

원의 특성으로 인해 변의 길이가 같아 $\triangle OAB$, $\triangle OBC$는 이등변 삼각형이다. 삼각형 $\triangle ABC$를 보면 $2 (\alpha + \beta)$ = $180^\circ$이므로 $\alpha + \beta$ = $90^\circ$이 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그림 12] 바다에서 바라본 수평선(출처: wikipedia.org)

원의 방정식은 우리 머리 속에만 있을까? 아니다. 원과 직선을 포함한 기하학은 우리 주변을 설명하는데 매우 좋은 논리적인 도구이다. 예를 들면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 증명에 원 특성을 사용할 수 있다. 쉽게 말하면 복잡한 과학 관측을 하지 않더라도 단순 기하학적 논증을 통해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을 찾을 수 있다. 둥근 지구는 고대 그리스에서도 잘 알려진 사실이었다. 둥근 지구 증명을 위해 [그림 13]과 같은 수평선 관측 사고 실험을 해보자.

[그림 13] 원 상의 수평선 관측

먼저 수평선 관측을 위해 지표면에 높이 $h$가 되는 탑을 세우자. 우리가 관측하는 수평선은 $(0, y_h)$를 지나 원에 접하는 접선의 접점 $(x_0, y_0)$이다. 탑 높이 $h$에 대한 수평선의 변화를 추적하면 지구 반지름 특성을 대략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식 (11)을 이용해 다음 결과를 유도하자.

                        (14)

식 (14)에 의해 탑을 높이 쌓을수록 $x_0$가 커지기 때문에 수평선은 더 멀리까지 관측된다. 이는 우리 경험에도 부합하는 상식적인 결과이다. 만약 지구가 평평하다면 이런 결과가 생기지 않는다.[밤하늘의 별을 보면 아주 멀리서 오는 빛도 육안으로 잘 관찰된다.] 따라서 지구가 둥근 구라는 기하학적 가설을 이용해, 높은 곳에서 수평선을 관측할 때 수평선이 더 멀리 보이는 경험적 사실을 잘 설명할 수 있다. 즉 현상의 세심한 관찰과 수학적 논리를 써서 그 속에 숨어있는 과학적 사실을 명쾌히 규명할 수 있다.

[그림 14] 원으로 표현한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distance from a point to a line)]
점 $(x_0, y_0)$에서 직선 $ax+by+c$ = $0$ 사이의 거리 $d$는 다음과 같다.

                              (32)

여기서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는 최단 거리 혹은 수직인 거리로 정한다.

[증명]
[그림 14]에 의해 거리 $d$는 원의 반지름 $r$과 동일하다. 직선 $ax+by+c$ = $0$은 원의 접선이므로 식 (11)에 따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33)

법선 벡터 $\bar n$을 만들기 위해 직선도 $a(x-x_1) + b(y-y_1)$ = $0$처럼 바꾼다. 여기서 $c$ = $-(ax_1 + by_1)$, $\bar n$ = $(a, b)$이다. 그러면 벡터 $\bar v$ = $(x_1, y_1) - (x_0, y_0)$는 $\bar n$에 평행하므로, $\bar v$ = $-k \bar n$이라 쓸 수 있다. 두 벡터 $\bar n, \bar v$의 크기를 고려하면, 스칼라 $k$의 크기는 $|k|$ = $r/\sqrt{a^2 + b^2}$이 된다. 따라서 원의 반지름은 다음 관계를 만족한다.

                              (34)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원과 반지름 개념을 도입하면 유명한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문제를 더욱 쉽게 해결할 수 있다.

[원의 유리형 매개변수] [2]

                              (35)

여기서 $x^2 + y^2$ = $1$, $t$ = $\sec \phi - \tan \phi$, $-1 \le t \le 1$이다.

[증명]
식 (35)에 $t$ = $\sec \phi - \tan \phi$를 대입해서 정리한다.

                              (36)

각도 $\phi$ = $\phi/2$에서는 $t$가 존재하지 않지만, 이 각도 근방에서는 $t$ = $0$으로 잘 정의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식 (2)는 원을 그리는 유일한 매개변수가 아니며, 식 (35)처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Euclid, Elements, 300 BC. (Java 기반 설명)
[2] 김영훈, "공간의 분류와 대칭성 [2]: 기하학자의 꿈", HORIZON, 2018년 4월. (방문일 2024-01-18)

[다음 읽을거리]
1. 포물선의 방정식
2. 타원의 방정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