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행렬
2. 행렬식의 기하학적 의미
3. 가우스 소거법
[그림 1] 데카르트 좌표계의 정규 직교 기저, $\hat i, \hat j, \hat k$(출처: wikipedia.org)
가우스 소거법(Gaussian elimination)의 중요한 결과인 LU 분해(lower–upper decomposition)를 사용하면 1차 연립 방정식을 매우 효과적으로 풀 수 있다.
(1)
여기서 $\bf P$는 순열 행렬(permutation matrix)이다. 행렬식(determinant)의 고민에서 나온 벡터 공간(vector space)의 정규 직교 기저(orthonormal basis)를 만들 때는 QR 분해(QR decomposition) 혹은 QR 인수 분해(QR factorization)를 쓰면 정말 편리하다. 다른 관점으로 보면 벡터 공간의 직교 기저를 만드는 방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개념이 행렬의 QR 분해이다. QR 분해라는 목적지로 가기 위한 첫걸음은 좌표계(coordinate system)에서 시작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은 3차원이지만, 3이란 숫자에 너무 집착할 필요는 없다. 좌표계 구성에 따라 임의의 $n$차원 공간까지 상상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n$차원에 있는 벡터를 $\bar v$라 할 수 있다. 벡터 $\bar v$를 구성하는 기저(basis)를 만들기 위해 선형 독립(linear independence)인 $n$개의 벡터 $\bar r_i$를 다음처럼 선택한다.
(2)
선형 독립인 벡터는 충분히 기저가 될 수 있지만, 벡터의 성분(component)을 계산할 때는 많이 불편하다. 이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식 (2)에 있는 $\bar r_i$를 이용해 $\bar v$를 구성한다.
(3)
여기서 $\alpha_i$는 벡터 $\bar v$의 스칼라 성분(scalar component)이다. 성분 $\alpha_i$를 구하기 위해, 식 (3)에 나온 선형 결합(linear combination)을 행렬로 만든다.
(4)
여기서 $\bar r_i$는 행 벡터(row vector)라 생각한다. 행렬을 구성하는 행 벡터 $\bar r_i$가 서로 선형 독립이기 때문에, 역행렬이 존재해서 $\alpha_i$를 유일하게 정할 수 있다. 기저를 새롭게 보기 위해, 식 (3)에 내적(inner product)을 적용한 후 다음처럼 계산할 수도 있다.
(5)
기저 간의 모든 내적 $\bar r_j \cdot \bar r_i$를 원소로 하는 행렬에 기본 행 연산(elementary row operation)을 써본다. 그러면 행렬에 있는 어떤 행에서는 다음 식이 나온다.
(6)
여기서 $\bar w$는 행렬에 사용한 기본 행 연산을 표현하는 벡터이다. 식 (4)에 있는 행렬 $[\bar r_i]$에 적절한 기본 행 연산을 적용하면 식 (5)에 구성한 행렬 $[\bar r_j \cdot \bar r_i]$가 얻어지므로, 식 (5)의 행렬도 역행렬이 분명 존재한다. 그래서 식 (6)에 있는 모든 원소가 $0$이 되기는 불가능하다. 이러한 결론을 내적 관점으로 보면, 어떤 벡터든지 모든 기저에 직교하기[$\bar w \cdot \bar r_i$ = $0$]는 불가능하다.
식 (4), (5)에서 기저의 선형 결합으로 표현한 벡터의 성분을 구하는 방법을 유도했지만 여전히 복잡하다. 그래서 내적에 대한 직교(orthogonality) 개념까지 적용해서 더 간략화한다. 먼저 내적과 벡터 성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alpha_i$를 내적으로만 표현한다. 첫 단계로 식 (3)에 정의한 $\bar v$에서 기저 $\bar r_1$이 없는 새로운 벡터를 $\bar v^{(1)}$이라 한다.
(7)
여기서 벡터의 내적(inner product) $\bar r_1 \cdot \bar r_1$은 $|\bar r_1|^2$과 같아서 두 번 나오는 $\bar r_1$을 단위 벡터로 만들어주며, $\bar v$에서 $\bar r_1$과 같은 방향의 성분을 찾기 위해 $\bar v \cdot \bar r_1$ 연산을 사용한다. 식 (7)에 $\bar r_1$을 내적하면 $0$이 나오므로 $\bar v^{(1)}$과 $\bar r_1$은 서로 수직이다. 식 (7)에서 기저 벡터 $\bar r_1$을 단위 기저 벡터(unit basis vector) $\hat r_1$로 바꾸면 더 간단해진다.
(2)
선형 독립인 벡터는 충분히 기저가 될 수 있지만, 벡터의 성분(component)을 계산할 때는 많이 불편하다. 이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식 (2)에 있는 $\bar r_i$를 이용해 $\bar v$를 구성한다.
(3)
여기서 $\alpha_i$는 벡터 $\bar v$의 스칼라 성분(scalar component)이다. 성분 $\alpha_i$를 구하기 위해, 식 (3)에 나온 선형 결합(linear combination)을 행렬로 만든다.
(4)
여기서 $\bar r_i$는 행 벡터(row vector)라 생각한다. 행렬을 구성하는 행 벡터 $\bar r_i$가 서로 선형 독립이기 때문에, 역행렬이 존재해서 $\alpha_i$를 유일하게 정할 수 있다. 기저를 새롭게 보기 위해, 식 (3)에 내적(inner product)을 적용한 후 다음처럼 계산할 수도 있다.
(5)
기저 간의 모든 내적 $\bar r_j \cdot \bar r_i$를 원소로 하는 행렬에 기본 행 연산(elementary row operation)을 써본다. 그러면 행렬에 있는 어떤 행에서는 다음 식이 나온다.
(6)
여기서 $\bar w$는 행렬에 사용한 기본 행 연산을 표현하는 벡터이다. 식 (4)에 있는 행렬 $[\bar r_i]$에 적절한 기본 행 연산을 적용하면 식 (5)에 구성한 행렬 $[\bar r_j \cdot \bar r_i]$가 얻어지므로, 식 (5)의 행렬도 역행렬이 분명 존재한다. 그래서 식 (6)에 있는 모든 원소가 $0$이 되기는 불가능하다. 이러한 결론을 내적 관점으로 보면, 어떤 벡터든지 모든 기저에 직교하기[$\bar w \cdot \bar r_i$ = $0$]는 불가능하다.
[그림 2] 2차원 벡터에 대한 그람–슈미트 과정(출처: wikipedia.org)
식 (4), (5)에서 기저의 선형 결합으로 표현한 벡터의 성분을 구하는 방법을 유도했지만 여전히 복잡하다. 그래서 내적에 대한 직교(orthogonality) 개념까지 적용해서 더 간략화한다. 먼저 내적과 벡터 성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alpha_i$를 내적으로만 표현한다. 첫 단계로 식 (3)에 정의한 $\bar v$에서 기저 $\bar r_1$이 없는 새로운 벡터를 $\bar v^{(1)}$이라 한다.
(7)
여기서 벡터의 내적(inner product) $\bar r_1 \cdot \bar r_1$은 $|\bar r_1|^2$과 같아서 두 번 나오는 $\bar r_1$을 단위 벡터로 만들어주며, $\bar v$에서 $\bar r_1$과 같은 방향의 성분을 찾기 위해 $\bar v \cdot \bar r_1$ 연산을 사용한다. 식 (7)에 $\bar r_1$을 내적하면 $0$이 나오므로 $\bar v^{(1)}$과 $\bar r_1$은 서로 수직이다. 식 (7)에서 기저 벡터 $\bar r_1$을 단위 기저 벡터(unit basis vector) $\hat r_1$로 바꾸면 더 간단해진다.
(8)
여기서 $\hat r_1$ = $\bar r_1 / |\bar r_1|$이다. 식 (8)과 비슷하게 벡터 $\bar v^{(1)}$에서 $\bar r_2$와 관계없는 벡터를 $\bar v^{(2)}$라 한다.
(9)
식 (9)를 식 (8)에 대입해서 정리하면 $\bar v$를 다음처럼 표현할 수 있다.
(10)
식 (10)에서 멈추지 않고 $\bar v^{(n)}$까지 계속 진행하면, 식 (3)에 대한 깔끔한 표현식을 얻을 수 있다.
(11)
여기서 벡터 $\bar r_i$는 서로 직교할 필요가 없지만, $\bar v^{(i)}$와 $\bar r_i$는 항상 직교한다[$\bar v^{(i)} \cdot \hat r_i$ = $0$]. 식 (5)보다는 식 (11)이 더 간단하지만, 기저가 서로 직교하지 않기 때문에 벡터 성분의 표현식이 여전히 복잡하다. 그래서 서로 직교하는 기저를 이용해 식 (11)을 더 간략화하면 좋다. 그래서 일반 벡터 $\bar v$에 적용한 식 (10)과 같은 절차를 일반 기저 $\bar r_i$에 사용해 정규 직교 기저 $\hat e_i$를 만든다. 예를 들어, [그림 2]에 있는 2차원 벡터와 정규 직교 기저 $\hat e_1, \hat e_2$를 보면, 대각선으로 표시된 일반 벡터 $\bar v_2$를 서로 직교하는 정규 직교 기저인 $\hat e_1, \hat e_2$의 선형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전체 과정 중에서 첫번째 정규 직교 기저 $\hat e_1$은 처음 나오는 기저이기 때문에 간단히 $\hat e_1$ = $\hat r_1$으로 둔다. 그 다음 정규 직교 기저 $\hat e_2, \cdots, \hat e_n$ 등은 다음처럼 차례차례 만든다.
(12)
여기서 $\bar s_i$는 직교하지만 크기가 1이 아닐 수 있는 직교 기저이다. 식 (12)의 첫째식이 [그림 2]에 정확히 대응한다. 식 (12)에 의해 정규 직교 기저는 서로 선형 독립이면서 다음 관계를 항상 만족한다.
(13)
이러한 정규 직교 기저를 생성하는 방법을 그람–슈미트 과정(Gram–Schmidt process)이라 부른다. 정규 직교 기저를 이용하면, 식 (11)과는 다르게 식 (3)에 있는 벡터를 매우 간단히 표현할 수 있다.
(14)
식 (14)와 비슷한 모양으로 일반 기저 $\bar r_i$를 $\hat e_i$의 선형 결합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식 (12)의 첫째식을 다음처럼 바꾼다.
(15)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모든 $\bar r_i$를 $\hat e_i$의 선형 결합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16)
그람–슈미트 과정과 식 (16)을 이용하면 행렬 분해의 중요한 기법인 QR 분해 방법을 유도할 수 있다.
[QR 분해]
열 벡터가 서로 선형 독립인 행렬 $\bf A$는 다음과 같은 두 행렬 $\bf Q$, $\bf R$의 곱으로 분해될 수 있다.
(17)
여기서 $\bf Q$의 열 벡터(column vector)는 그람–슈미트 과정으로 만든 정규 직교 기저, $\bf R$은 상삼각 행렬(upper triangular matrix)이다.
[증명]
열 벡터 ${\bf a}_i$를 가진 행렬 $\bf A$는 다음과 같다.
(18)
선형 독립인 열 벡터 ${\bf a}_i$를 일반 기저로 생각하면, 그람–슈미트 과정을 적용할 수 있어서 $\bf Q$를 다음처럼 생성할 수 있다.
(19)
여기서 열 벡터 ${\bf q}_i$는 $\bf A$에 대한 정규 직교 기저이다. 그러면 식 (16)에 따라 ${\bf a}_i$를 ${\bf q}_i$의 선형 결합으로 바꿀 수 있다.
(20)
여기서 $(\cdot)^T$는 전치 행렬(transpose)이다. 식 (20)을 행렬의 곱으로 쓰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21)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QR 분해를 할 때 사용하는 그람–슈미트 과정은 나눗셈(division)과 매우 유사하다. 그래서 분해 명칭에 몫(quotient)과 나머지(remainder)를 뜻하는 QR을 사용한다.
QR 분해에 나오는 행렬 $\bf Q$는 열 벡터가 서로 직교하는 재미있는 성질이 있다. 행렬을 구성하는 행 벡터 혹은 열 벡터가 서로 직교하는 정방 행렬(square matrix)은 직교 행렬(orthogonal matrix) 혹은 정규 직교 행렬(orthonormal matrix)이라 부른다. 여기서 직교 행렬을 구성하는 행이나 열 벡터의 크기는 $1$이 되어야 한다. 행렬 $\bf Q$의 행과 열의 개수가 같으면, $\bf Q$도 직교 행렬이 된다. 그래서 직교 행렬을 표현하는 알파벳으로 Q를 쓴다. 직교 행렬은 다음과 같은 중요한 성질이 있다.
[직교 행렬의 성질]
직교 행렬 $\bf Q$는 다음 성질이 성립한다.
(a) (21)
(b) (22)
(c) (23)
(d) 열 벡터가 서로 직교하면 행 벡터도 직교한다. 그 반대도 참이다.
여기서 $\| \cdot \|$는 행렬식 $|\cdot|$과 구별되는 벡터의 크기[정확히는 벡터 노름(vector norm) $\| \cdot \|_2$ 혹은 유클리드 노름(Euclidean norm)]를 의미한다.
[명제 (a)의 증명]
열 벡터의 직교성에 의해 행렬 $\bf Q$와 전치 행렬의 곱은 항등 행렬(identity matrix)이 된다.
(24)
식 (24)에 전치 행렬을 취하면 다음 관계식도 얻을 수 있다.
(25)
따라서 $\bf Q$의 전치 행렬은 역행렬이 된다.
[명제 (b)의 증명]
전치 행렬과 행렬 곱의 행렬식은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26)
(27)
따라서 식 (24)에 의해 $|{\bf Q}|^2$ = $1$이다.
[명제 (c)의 증명]
식 (23)을 다음처럼 변형한 후 식 (24)를 대입하면 식 (23)이 증명된다.
(28)
[명제 (d)의 증명]
식 (25)의 좌변에 의해 행 벡터도 서로 직교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직교 행렬의 원소는 모두 실수이다. 만약 행렬의 원소가 복소수(complex number)까지 될 수 있고, 복소수 관점에서 열 벡터가 서로 직교하면, 이 행렬은 유니터리 행렬(unitary matrix)이라 부른다. 즉, 직교 행렬을 복소 영역으로 확장하면 유니터리 행렬이 된다.
식 (22)에 의해 직교 행렬의 행렬식은 $1$ 혹은 $-1$이다. 두 값을 구별하기 위해, 행렬식이 $1$이면 정상 직교 행렬(proper orthogonal matrix)이라 한다. 행렬식이 $-1$인 경우는 이상 직교 행렬(improper orthogonal matrix)이 된다. 식 (23)은 직교 행렬이 있든지 없든지 원래 벡터의 크기는 일정함을 뜻한다. 즉, 직교 행렬의 연산을 적용하더라도 벡터의 크기는 항상 보존된다. 물론 벡터의 방향은 바뀔 수 있다.
LU 분해와 비슷하게 QR 분해를 이용해서 1차 연립 방정식을 다음처럼 효과적으로 풀 수 있다.
(29)
식 (29)의 마지막식은 상삼각 행렬 $\bf R$만 계산하면 되므로, 후진 대입법(backward substitution)을 사용하면 된다. 다만 QR 분해로 연립 방정식을 풀 때는 행렬의 곱과 전치 행렬 연산이 필요하므로, LU 분해만큼 효과적이지는 않다.
[다음 읽을거리]
안녕하세요. 종종 놀러와서 도움 얻고 있는 사람입니다.
답글삭제그런데 올리신 글들이 상당히 많은 것 같은데, 글 목록을 어떻게 볼 수 있나요..?
수학 관련 글이 96개로 뜨는 것 같은데 그 96개의 글목록을 볼 수 있는 공간을 도저히 못찾겠어서
여쭙습니다..
오른쪽 "아름다운 총서"에 목록이 링크되어 있어요.
삭제수학 목록은 아래에 있어요.
https://blog.naver.com/ghebook/30113491161
감사합니다!!
삭제오 감사합니다..
답글삭제그런데 eigenvector 와 QR에서 Q의 관계성은 없는건가요?
대칭 행렬의 경우에만 고유 벡터가 서로 직교합니다. 그래서 항상 직교하는 벡터로 구성한 Q 행렬과는 큰 관계가 없어요.
삭제(7) 에서 (8)로 갈 때 맨 뒤 r1이 단위벡터로 바뀌는 것은 알겠는데 괄호안에는 단위벡터로 바뀌는 것을 모르겠습니다
답글삭제Physics님, 내용을 더 추가했어요~~
삭제안녕하세요? 이해가 되지 않는 몇가지를 질문드립니다.
답글삭제식(3) 밑에서 αi들이 기저벡터 ri들의 성분(component)이라고 표기하셨는데 αi들은 기저벡터들의 좌표(coordinates)라고 표기해야 맞는 것이 아닌가요?
그리고 식(4)에서 v를 기저들의 선형결합으로 나타낼때 v의 첫번째 등식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v=[v1 v2 v3 … vn]이 v의 기저들의 선형결합을 나타내는 표현이 맞나요?
[v1 v2 v3 … vn]에서 각각의 vi들과 ∑αi*ri가 어떻게 매칭이 되나요?
마지막으로 식 (7)에서 {(v dot r1)÷(r1 dot r1)}x(r1)이 뜻하는 바가 나눗셈항은 v와 r1의 사잇각인 cosθ 라고 이해했는데 그 다음에 r1을 곱해주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1. 식 (3)에서 선형 결합 관점의 스칼라라서 벡터의 성분이 맞다고 생각해요. 이걸 위치를 나타내는 숫자의 나열인 좌표로 쓸 수 있겠지만, 이건 응용 관점이고 정의 상은 성분입니다.
삭제2. 식 (4)의 우변을 행렬로 계산하면 식 (3)이 나옵니다. 단순하게 보세요.
3. $\bar r_1$ 방향 성분을 없애기 위해서입니다. 스칼라로 보면 뺄셈이고, 벡터로는 같은 방향을 찾아 빼야 합니다.
1.예 제가 헛갈렸던 것은 식(3)밑의 서술에서 각각의 알파i가 기저벡터 햇감마i의 성분이 아니라 각각의 알파i는 벡터 햇v의 성분이고 기저벡터 헷감마i의 좌표 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니까 알파i를 성분이라고 말하려면 그것은 벡터 햇v의 성분이라고 말해야하고 알파i를 좌표라고 말하려면 그것은 기저벡터 햇감마i의 좌표라고 말해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삭제선형대수학 책에서 벡터의 성분과 좌표를 다르게 정의하고 있어서 생긴 오해였던 것 같습니다. 결과적으로 식(3)바로 밑에 있는 서술에서 ()를 추가하면 제 이해가 맞는 것 같습니다. "여기서 알파i는 (벡터 햇v의) 기저 벡터 햇감마i에 대한 성분이다"
삭제2.식(4)에서 햇v=[v1 v2 ... vn]과 햇v=[알파1 알파2 ... 알파n][햇감마1 햇감마2 ... 햇감마n]^T가 동치일때 [v1 v2 ... vn]는 기저에 대한 햇v의 좌표들과 기저들의 곱 즉 [알파1 알파2 ... 알파n][햇감마1 햇감마2 ... 햇감마n]^T으로 v를 표현한 것과 같은 햇v의 표현이라고 이해했습니다.
삭제3.이부분은 잘 이해되었습니다.
추가질문.
식(12)에서 정규직교기저 햇ei들을 구할때 햇si들은 그림1에 있는 일반벡터 vi들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질문에 답해주시고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1. 식 (3) 밑에 표현을 바꾸는 게 좋겠네요.
삭제2. $\bar s_i$는 직교하는 기저라서 [그림 1]에서는 $\bar u_i$가 됩니다.
추기적으로 질문이 하나 더 있는데 직교행렬 Q를 정의하는 문장에서 "직교행렬을 구성하는 행이나 열 벡터의 크기는 1이 되어야 한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요? 이것과 관련있는 성질이 식(22)인가요 아니면 식(23)인가요?
답글삭제1. 직교 행렬은 행이나 열의 크기가 1이 꼭 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식 (21)-(23)의 성질이 나옵니다.
삭제LU분해가 계산의 과정을 확연히 줄여준다는 건 예제로 봐서 이의 용도가 이해됬는데, QR분해를 하는 이유는 아직 잘 이해못하겠네요
답글삭제QR 분해는 정규 직교 기저를 만들 때 주로 사용합니다.
삭제식 (7)에서 알파1이 (v-r1)/(r1*r1)과 같다고 놓는데 v(1)이 r1을 기저로 갖지 않기 때문에 기하적으로 생각해봤을때 v(1)과 r1은 초점만 같고 서로 직교하는 벡터라고 봐도 될까요?
답글삭제네, 기하학적으로 직교해서 그 방향 성분이나 기여가 사라진다고 생각해요.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