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중간값의 정리
어렵게 증명했던 중간값 정리(intermediate value theorem)의 재미난 응용이 고정점 정리(fixed point theorem)이다. 고정점은 넣어준 입력 와 함수값 가 동일한 값을 가짐을 의미한다. 즉, 함수 변환을 해도 변하지 않는 점이 고정점이 된다. 개념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그림 1]을 보자. = 를 만족하는 어떤 함수 [그림 1에서 검정선]는 = 인 직선[그림 1에서 초록선]과 반드시 만난다. 아무리 봐도 = 를 만나지 않고 = 를 그릴 방법은 없어 보인다.

[그림 1] 고정점의 예시(출처: wikipedia.org)
[고정점 정리]
변수 와 연속 함수 의 정의 영역[즉 의 정의역과 공역]이 닫힌 구간 로 한정되면 인 고정점 가 반드시 존재한다.
[증명]
새로운 함수 = 로 정의하면 이 함수는 연속 함수(continuous function)가 된다. 점 = 을 대입하면 = = 이 되어서, 는 반드시 이 된다. 마찬가지로 = 을 넣으면 = 이 되어 은 반드시 이 된다. 여기에 중간값의 정리를 적용해보자. 닫힌 구간 에 대해 는 이 성립하므로 = 을 만족하는 가 반드시 존재한다. 따라서, 중간값의 정리에 의해 연속 함수 는 반드시 0에 해당하는 값을 가져야 한다. 즉, = 을 만족하는 고정점 가 반드시 존재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만약 , 라면 가 닫힌 구간 의 사이값인지 확인이 안되므로 고정점 정리를 사용할 수 없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변환을 통해 고정점 정리를 사용하도록 를 바꿀 수 있다.

식 (1)에 의해 는 에서 고정점을 가진다.
[다음 읽을거리]
예전에 대 1때 몇 번 들러서 게시글 훑어보고 나가곤 했는데, 대학 조교를 맡으면서 이런 글을 다시 보니 새롭네요 ㅎㅎ. 바나흐의 고정점 정리를 R의 컴팩트 구간에 한정 시키면 나올 정리 같긴 한데, 그 당시에는 댓글 한 번 안 달아봤으니 지금 한 번 달아봅니다. 정말 감사했습니다 ㅎㅎ. 아마 해석학이나 적분론 관련 글 올리시면 정말 재미있게 볼 거 같아요. 자주 보러 올 게요. 수고하세요 ㅎㅎ
답글삭제Juyoung님, 방문 감사합니다. ^^ 개선을 위한 의견 감사합니다. 시간될 때 반영하겠습니다.
삭제g(1)=1−f(1)이 되어 g(1)은 반드시 g(1)≥0이 된다 여기서 g(1)≥0이 된다는 왜그런건가요?
답글삭제 의 공역(codomain)이 0과 1 사이입니다.
삭제모르겠어요 ㅠㅠㅠㅠ
답글삭제힘내세요. 계속 하면 언젠가는 이해됩니다 👍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