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7월 26일 일요일

현수선 방정식(懸垂線方程式, Catenary Equation)

[경고] 아래 글을 읽지 않고 "현수선 방정식"을 보면 바보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1. 벡터 미적분학
2. 쌍곡선 함수


[그림 1] 사슬에 생긴 현수선의 모양(출처: wikipedia.org)

현수선(懸垂線, catenary)은 [그림 1]처럼 줄의 양 끝을 고정하고 밑으로 자연스럽게 늘어뜨렸을 때 생기는 선의 모양이다. 현수선이 따르는 곡선의 궤적은 포물선(parabola)과 비슷하게 생겼다. 줄을 늘어뜨린 현수선이 정말 $y$ = $ax^2 + b$로 표현되는 포물선 모양을 따르는지 증명한다.

[그림 2] 현수선에서 힘의 분포

현수선의 양 끝이 고정되면 중력에 의해 선이 아래로 늘어뜨려진다. 이때 생기는 힘의 분포는 [그림 2]와 같다. 중력이 아래로 당기기 때문에 힘은 ↘↙ 형태로 가해진다. 그러면 줄에는 원래 모양을 유지하려는 장력(張力, tension)이 ↖↗ 형태로 생긴다. [그림 2]를 보면 중력은 주황색, 장력은 바다색이다. 현수선이 따르는 곡선의 모양을 쉽게 표현하기 위해, 벡터 미적분학(vector calculus)에서 도입한 호의 길이(arc length) $s$를 사용한다. 그러면 현수선을 매개변수 $s$의 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현수선에 작용하는 장력 $\bar T$는 현수선의 단위 접선 벡터(unit tangent vector) $\hat T$를 이용해 다음처럼 쓸 수 있다.

                  (1)

장력의 크기 $T$를 $x, y$축에 대해 분해하면 다음과 같다.

                  (2)

여기서 $x$ = $0$에서 $s$ = $0$으로 선택, $T_0$는 $s$ = $0$에서 장력, $\rho_l$은 단위 길이당 선의 질량, $g$는 중력 가속도(gravitational acceleration)이다. 원점인 $s$ = $0$에서는 아래로 향하는 장력이 없고 서로 잡아당기는 장력인 $T_0$만 있다. 호의 길이 $s$가 커지더라도 $x$축으로는 장력 외에 어떠한 힘도 없기 때문에 식 (2)의 첫째식처럼 항상 $T_0$로 같다. 중력은 아래로 작용하기 때문에 $y$축 장력[= $T \sin \phi$]은 중력의 함수이다. 원점인 $s$ = $0$에서는 아래로 가해지는 힘이 없고, $s$가 커지면 중력이 아래로 생겨 이를 상쇄하려 세로 방향 장력이 위로 동일하게 작용한다.[∵ 현수선이 공중에 매달려 정지하고 있기 때문에 합력은 모든 방향에서 $0$이 된다.] 이때 현수선에 가해지는 장력은 현수선을 매단 끝 부분에서 최대가 된다. 식 (2)를 서로 나누어서 현수선 기울기에 대한 미분 방정식을 얻는다.

                  (3)

여기서 $a$ = $T_0 / (\rho_l g)$이다. 현수선의 궤적을 표현하는 식 (3)이 우리가 찾는 현수선 방정식(catenary equation)이다. 현수선 호의 길이 $s$에 대한 미분소 $ds$를 이용해서 $x$와 $s$의 관계를 다음처럼 얻는다.

                  (4)

비슷한 방식으로 $y$와 $s$의 관계식도 유도할 수 있다.

                  (5)

여기서 $C$는 적분 상수이다. 식 (4)를 식 (5)에 대입해 다음처럼 정리한다.

                  (6)

여기서 $x$ = $0$에서 $y$ = $a$라 가정해 $C$ = $0$으로 설정한다. 우리의 예상과는 다르게 [그림 1]에 나타난 곡선은 포물선이 아닌 쌍곡 코사인(hyperbolic cosine) 함수 모양을 가진다. 쌍곡 코사인 함수로 표현한 식 (6)을 현수 곡선(catenary curve)이라 부른다. 식 (3)을 한 번 더 미분하고 호의 길이 $s$를 $x, y$의 관계로 바꾸어서 현수선 방정식을 조금 다르게 쓸 수도 있다.

                  (7)

현수선 방정식의 역사는 꽤 오래 되었다[1]. 빛의 파동성을 주장한 과학자 하위헌스Christiaan Huygens(1629–1695)는 이미 1646년하위헌스 17세, 조선 인조 시절에 기하학을 이용해 현수선은 포물선이 아님을 증명했다. 그후 하위헌스가 죽기 4년전인 1691년하위헌스 62세, 조선 숙종 시절에, 야곱 베르누이Jacob Bernoulli(1655–1705)가 낸 현수선 질문에 답을 하면서 하위헌스는 제대로 된 결과물을 발표했다[1].[식 (6)과 같은 공식을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았지만, 답을 모르면 생각할 수 없는 현수선의 다양한 성질을 공개했다.] 여기서 야곱 베르누이의 질문에 논문으로 답한 학자들은 라이프니츠Gottfried Wilhelm Leibniz(1646–1716), 하위헌스, 요한 베르누이Johann Bernoulli(1667–1748)이다.

[그림 3] 금문교(Golden Gate Bridge)에 있는 현수선의 모습(출처: wikipedia.org)

하지만 [그림 3]처럼 현수교에 사용하는 현수선은 질량이 매우 커서 $\rho_l$도 커진다. 그러면 식 (4)에 사용한 $a \approx 0$이다. 따라서 $x \approx s$가 성립한다. 이 관계를 식 (3)에 대입하여 적분하면 다음과 같다.

                  (8)

따라서 매우 무거운 현수선은 근사적으로 포물선 모양을 가진다.

[참고문헌]
[1] J. Bukowski, "Christiaan Huygens and the problem of the hanging chain," Coll. Math. J., vol. 39, no. 1, pp. 2–11, Jan. 2008.
[2] 아마추어맨, "현수선(catenary) 시현", digital explorer, 2024년 5월. (파이썬 기반 설명, 방문일 2024-05-17)

댓글 16개 :

  1. 식 (3)에서 왜 dy/dx가 s/a인가요?

    답글삭제
    답글
    1. $dy/dx$는 기울기라서 $\tan \phi$가 됩니다. 식 (2)를 나누면, 식 (3)의 우변도 나옵니다.

      삭제
    2. 아 그건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s/a는 어디서 나온 식인가요?

      삭제
    3. [그림 2]와 식 (2)를 보세요.

      삭제
    4. 죄송합니다.. 잘 이해가 안되네요...ㅠㅠ 왜 tan 값이 s/a인지 모르겠습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삭제
    5. [그림 2] 밑에 상세하고 설명하고 있어요. 그 다음은 익명님의 몫입니다.

      삭제
  2. (2) 식에서 왜 T sin이 중력인 plgs 가 됐나요

    답글삭제
    답글
    1. 현수선이 공중에 매달려 정지하고 있기 때문에 합력은 0이 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아래로 작용하는 중력과 위로 생기는 장력의 세로 힘의 크기는 같고 방향은 달라야 합니다.

      삭제
  3. 왜 식 (4)를 계산할때 t가 asinh u인건가요?

    답글삭제
    답글
    1. 적분하려고 치환했어요. 식 (4)에 있는 피적분 함수는 쌍곡선 함수로 바꿔야 적분이 됩니다.

      삭제
  4. 님께서 올려주신 내용 잘 보고 갑니다...고맙습니다...

    답글삭제
  5. 올려주신 내용 너무 고맙습니다...

    답글삭제
  6. 전파거북이님 안녕하세요! 너무 알차고 좋은 내용 정리해 주심에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정리하신 내용을 파이썬으로 구현해서 검증(?)해 보았는데, (혹시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되기를 바라면서) 링크를 남겨도 괜찮겠지요?ㅎㅎ
    https://with1.tistory.com/46

    답글삭제
    답글
    1. 멋지네요. 계속 이 방향으로 활동하시면 서로 도움이 되겠네요.
      제 쪽에도 링크를 걸게요.

      삭제
    2. 저도 정말 그러고 싶은데, 이 정도가 제 한계고, 깊이가 얕아서요.ㅎㅎ
      전파거북이님처럼 엄밀한 수학으로 한치의 의심 없이 자유롭게 직관할 수 있는 부분이 너무 부럽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글들로 고통받는 중생들 많이 구제해 주시길 바랍니다^^;

      삭제

욕설이나 스팸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전파거북이]는 선플운동의 아름다운 인터넷을 지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