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1월 30일 일요일

삼각 함수의 합차 공식(合差公式, Angle Sum and Difference Identity)

[경고] 아래 글을 읽지 않고 "삼각 함수의 합차 공식"을 보면 바보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1. 삼각 함수


삼각 함수의 합차 공식(angle sum and difference identity)은 예전 이과반 고등학생을 괴롭히는 매우 복잡한 공식이다. 이 공식을 굳이 배우는 이유는 삼각 함수를 미분하기 위해서이다. 먼저 삼각 함수의 합차 공식을 외울 수 있는 쉬운 방법을 생각해 보자. 아래 오일러의 공식(Euler's formula)을 이용하면 삼각 함수 합차 공식을 잊지 않고 계속 기억할 수 있다.

                         (1)

식 (1)의 오일러 공식을 이용하면 아래식이 얻어진다.

                       (2)

식 (2)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각각 비교하면 아래의 삼각 함수 합차 공식을 쉽게 암기할 수 있다.

                        (3)

여기서 조심할 부분이 있다. 식 (2)는 삼각 함수 합차 공식의 증명이 아니다. 쉽게 외우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 오일러 공식을 증명할 때 삼각 함수의 미분을 썼고 삼각 함수의 미분은 삼각 함수 합차 공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식 (2)를 이용해 식 (3)을 증명하기는 동어 반복이다. 따라서 식 (3)의 증명은 다음처럼 해야 한다.

[증명: 기하학]
[그림 1] 합차 공식 증명을 위한 사각형

삼각 함수 정의를 활용하면 [그림 1]을 통해 합차 공식을 쉽게 증명할 수 있다. [그림 1]에 표시한 길이를 $x$축과 $y$축 관점으로 합하면 아래식을 얻는다.

                       (4)

[증명: 벡터 내적]
2차원 벡터의 내적(內積, inner product)을 이용해서도 합차 공식을 쉽게 증명할 수 있다[1]. 임의의 2차원 벡터를 $\bar a, \bar b$라 하자.

                          (5)

식 (5)를 이용해서 내적을 계산하면 아래식을 얻는다.

                       (6)

[그림 2] 사각형으로 합차 공식을 증명(출처: wikipedia.org)

[증명: 사각형]
[그림 1]에 있는 직사각형을 아예 큰 직사각형 안으로 넣으면 [그림 2]가 된다. 두 삼각형의 각을 $\alpha, \beta$라 한 후, 유클리드 기하학(Euclidean geometry)을 이용해 직사각형 안에 있는 네 직각 삼각형의 변 길이를 결정한다. 직사각형에서 좌변과 우변의 길이가 같으므로, $\sin (\alpha + \beta)$ 공식을 증명할 수 있다. 또한 위변과 아래변의 길이가 같아서 $\cos (\alpha + \beta)$ 공식도 얻을 수 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삼각 함수의 합차 공식을 이용하면 삼각 함수의 미분을 쉽게 구할 수 있다.

[사인 함수의 미분]

                          (7)

[증명]

                          (8)

여기서 삼각 함수 항등식(trigonometric identity)에 의해 $1-\cos h = 2 \sin^2 (h/2)$, $\lim_{h \to 0} 2 \sin^2 (h/2)/h$ = $\lim_{h \to 0} \sin (h/2)$ $\lim_{h \to 0} \sin (h/2)/(h/2)$ = $0$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코사인 함수의 미분]

                          (9)

[증명]
식 (7)에서 $x \to x + \pi /2$를 하면 식 (9)가 증명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식 (8)의 증명에서 모호한 부분이 하나 있다. 함수 $\sin h/h$의 극한이 1임을 어떻게 알 수 있나? 사실 라디안(radian)을 사용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sin h/h$의 극한]

                          (10)

[증명]

                        (11)

여기서 원의 반지름 $r = 1$이라 단순화했다. 또한 라디안 정의는 아래와 같다.

                        (12)

여기서 $l$은 호의 길이(arc length), $r$은 반지름(radius), $\theta$는 라디안으로 정의한 각도, $\vartheta$는 $360^\circ$ 기준 각도이다. 정성적으로 식 (11)을 이해하기는 쉽다. 식 (11)의 의미는 $x = 1$ 근방으로 계속 접근하면 호 길이는 접선 길이와 일치함이다.[혹은 돋보기로  $x = 1$ 근방을 계속 확대한다고 가정해보라. 그러면 호는 직선으로 보이며 결국은 접선과 같아진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각도[= $\theta$]가 $0$으로 가는 지점의 접선 방정식을 구해보자.

                          (13)

즉 $\theta = 0$ 근방에서는 $y$축에 평행한 선이 접선이며 호의 길이 $l$은 $y$와 동일하게 변하게 된다. 이 개념을 수학적으로 더 다듬어 보자. $\theta = 0$[$y = 0$ 혹은 $x = 1$] 근방의 호 길이를 의미하는 길이 미분소(length differential) $ds$[선적분(line integral)에 쓰는 바로 그 $ds$]는 식 (13)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유도한다. 먼저 피타고라스 정리(Pythagorean theorem)를 이용하면 2차원 평면에 있는 선분의 길이는 다음과 같은 차분[= $\Delta s$]으로 근사 가능하다. 차분 $\Delta s$에 극한(limit)을 취하면 다음과 같은 미분 결과를 얻을 수 있다.

                       (14)

여기서 $t$는 2차원 평면의 선분 궤적 $(x, y)$을 표현하는 매개변수(parameter)이며 $x, y$는 서로 직교하므로 $t$에서 $t + \Delta t$로 변할 때 얻어지는 선분 길이[= $\Delta s$]는 피타고라스 정리로 구할 수 있다. 그러면 원의 특성을 이용해 다음을 유도할 수 있다.

                       (15)

여기서 단위원 상에 있는 점 $(x, y)$는 $x^2 + y^2$ = $1$을 만족하고 미분 관계인 $x dx + y dy$ = $0$도 성립한다. 또한 식 (15)에서 $x = 1$이라 두면 $ds = dy$가 되므로 식 (11)이 증명된다. 혹은 $\theta = 0$ 근방에서는 호의 길이를 식 (15) 처럼 직선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아래 관계를 통해 증명할 수도 있다.

                       (16)

여기서 $l$은 $(x, y)$와 (1, 0)와의 직선 거리로 정의했으며 $(x, y)$는 반지름이 $1$인 원 위에 있는 점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정석대로 해석학의 도움을 받으면 조임 정리(squeeze theorem)를 이용해 식 (10)을 쉽게 증명할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 목표는 아주 초보적인 개념을 이용해 수학 기초를 이해하기이므로 의도적으로 조임 정리를 사용하지 않았다. 이런 의문도 가져볼 만 하다. 식 (10) 증명을 왜 이렇게 어렵게 할까? 테일러 급수로피탈의 규칙(L'Hopital's rule)을 쓰면 쉽지 않을까? 다시 말하지만 우리는 삼각 함수의 미분을 하고 있다. 그래서 테일러 급수와 로피탈의 규칙은 삼각 함수의 미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식 (10)의 증명에 사용할 수 없다.

[참고문헌]
[1] BARK, "삼각함수의 합차공식에 대한 증명", 평범한 학생의 공부방, 2010. (방문일 2011-01-30)

[다음 읽을거리]
1. 로그 함수의 기원

댓글 23개 :

  1. 질문있습니다
    (14) 식에서 이해가 잘 안되는데 직관적으로는 물론 잘 이해가 되지만
    ds=√(dx²+dy²)라는 것도 엄밀하게 증명해야하지 않나요?

    답글삭제
    답글
    1. 예, 맞습니다. ^^
      선적분에 있는 $ds$ 개념으로 증명했기 때문에 본문을 좀 수정했습니다.

      삭제
    2. 전파거북이님
      사실 차분이라는 방법이 저에게는 아직까지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닙니다.
      아직 차분에 대한 정확한 정의를 잘 모르겠는데 저의 생각대로 한번 논리를 전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미적분 교과서에 나오는 정의대로 해보면
      dy=y'dx가 성립한다고 가정하고 dy, dx 각각을 미분소라고 정의를 합니다.
      이 정의대로 하자면 ds=√((dx)^2+(dy)^2)가 성립하기 위해서 임의의 매개변수 t에 대해서 ds/dt=√((dx/dt)^2+(dy/dt)^2)가 성립해야 하는데 이 식이 어떻게 유도되는지 잘 모르겠네요. (만약 이 정의가 맞다면 이 관계가 성립함을 보여주세요)
      또 차분에 대한 정의.. 잘은 모르겠지만 제 생각대로 써보면
      어떤 미소한 단위의 dx와 dy가 일정하게 작아질 때마다
      dy와 f(dx)의 차이가 0으로 근사될 수 있다면 (저는 f(dx)라는 표기법은 한번도 보지 못했습니다만 어떤 관계를 그냥 f로 두겠습니다) dy=f(dx)로 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정의대로라면 ds=√((dx)^2+(dy)^2)가 성립한다는 사실을 어느정도 인정하겠습니다. (완전히 증명하지는 않은 상태니까요)
      하지만 이 정의대로 했을때 모순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 것 같습니다.
      dx는 항상 0으로 수렴을 하는데 이것을 이용해서 (제 생각에는) dx=2dx라고도 쓸 수 있게 됩니다. 왜냐하면 둘 다 0으로 근사하기 때문입니다. 또는 dx와 2dx와의 차이를 0으로 근사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논리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생각을 하게되면 ds=√((dx)^2+(dy)^2)도 자연히 성립할 수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ds와 √((dx)^2+(dy)^2)는 항상 ds>√((dx)^2+(dy)^2) 관계가 성립하게 됩기 때문입니다. (직선이 아니라고 가정할때의 이야기입니다.) 이것은 2dx>dx와 마찬가지입니다.) 이 논리가 성립한다고 하면 차분의 개념은 수학적으로 잘 정의되지 않은 것이 됩니다.
      차분의 정의를 정확히 정의해 주시거나 제 논리에서 정확하지 않은 부분을 짚어주셨으면 합니다. 또는 위에 있는 미분소의 정의가 맞다면 좀더 정밀한 증명을 부탁드립니다.
      굉장히 저에게는 고민되는 문제입니다.

      삭제
    3. 본문을 수정했으니 다시 한 번 봐주세요. ^^
      기본적으로는 선적분 정의를 따르고 있기 때문에 선적분 부분을 한 번 보시면 이해에 더 도움이 될 것입니다.

      위 댓글에서 말씀한 내용 중에서 예를 든 $dx$는 미분(differential)입니다. 이걸 0으로 생각하면 안됩니다. 0으로 가는 극한이지 0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삭제
    4. 아 이해가 조금 되는것 같네요
      지금은 머리가 약간 아프니 내일 다시 한번 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삭제
    5. 이제 ds=√((dx)^2+(dy)^2) 식은 받아드릴 수 있을거 같아요 감사드립니다
      좀더 깊이 이해하려면 좀더 많이 봐야 할거 같네요.
      그런데 아직 이해가 안되는게 있는데 (물론 억지주장같지만 어디가 아닌건지 잘 모르겠어요)
      위 댓글에서 제가 dx=2dx가 될 수 있다는 말은 dx가 0이라는 주장이 아니었습니다.
      제 생각은 dx와 2dx 모두가 0으로 근사하는데 2dx와 dx 둘의 차이 또한 0으로 가는 극한이기 때문에 dx=2dx라고 해도 모순이 없는것이 아닌가 하는 이야기입니다.
      번거롭게 죄송합니다.

      삭제
    6. 말씀하신 모순은 적분을 해보면 압니다. $\int_0^1 dx = 1$, $\int_0^1 2dx = 2$.
      아래 적분법 내용 참고하세요.

      http://ghebook.blogspot.kr/2010/07/integration.html

      삭제
  2. 식 15에서 dx^2=(ydy/x)^2 과 어떻게 루트 안에 식이 dy/x가 되는지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글삭제
    답글
    1. 제곱근 안을 보면 $(dy/x)^2 \cdot (x^2 + y^2) = (dy/x)^2$가 됩니다. 여기서 $(x, y)$는 원이므로 $x^2 + y^2 = 1$입니다.

      삭제
    2. 답변 감사합니다.

      삭제
  3. limit x to 0, sin(x)/x의 증명의 경우, 교과서나 다른 책들에 보면 squeeze theorem을 이용해서 시각적인 이해와 함께 내용을 풀어나가는데 본문 내용처럼 설명하신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솔직히 말씀드리면 본문의 증명 내용이 명확하게 와닿지는 않아서요.

    답글삭제
    답글
    1. Peter Ross님, 조언 감사합니다.
      조임 정리를 쓰지 않고 직관적으로 보려고 다른 설명을 제시한 것입니다. ^^
      조임 정리에 대한 부분도 본문에 추가했습니다.

      삭제
  4. 식 (8)번을 이해하는데 매우 힘들었습니다. 식 (8)에서 중간에 sinX와 cosX로 묶어서 식을 정리한 다음에 sinX로 묶여진 항들을 로피탈 정리를 이용해서 0이 되는것을 보여주고 이때 로피탈 정리를 이용할때 lim h->0 cosh/h 식의 미분도 필요하게 되는데 cosh의 미분은 아직 증명되지 않은 부분이여서 이해하는게 힘들었습니다. http://blog.naver.com/mondvopel/220302229851 제가 (8)식을 이해하기위해 참고한 주소인데...이곳을 참고하셔서 좀더 자세히 설명해주시면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답글삭제
    답글
    1. 미분 공식을 증명하고 있는 중이므로, 원칙적으로는 로피탈의 정리를 쓰면 안됩니다. 그래서 식 (10)의 증명이 매우 중요합니다. 조임 정리로 이걸 증명할 수 있지만, 본문에서는 기하학적 접근을 소개했습니다.

      삭제
  5. 네.. 제가 밑에글은 아직 이해를 못하고 있어서 완벽히 이해하고 다시 생각해 보겠습니다.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

    답글삭제
  6. 중요한건 아닌것 같은데.. 수식 14번에 y+Δy가 맞나요?? y+Δt 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어서요.... 지금 이해하는중인데 헷갈리네요..

    답글삭제
    답글
    1. 애고, 틀렸네요. ^^ 지적 정말 감사해요, Woonghee님.
      빠른 시일 내에 수정하겠습니다.

      삭제
  7. 작성자가 댓글을 삭제했습니다.

    답글삭제
    답글
    1. 아래 링크에 있는 식 (11)을 참고하세요.

      https://ghebook.blogspot.com/2013/04/equation-of-circle.html

      삭제
    2. 감사합니다.
      답변이 안되어있는줄 알고 다시 상세하게 문의드리려고 삭제했는데 삭제하고 나니 답변이 보입니다..

      원질문은 식(14)중에 dx^2=(ydy/x)^2 해당 부분이 어떻게 되는지 잘 이해가 되지 않아 문의 드린 내용입니다.

      삭제
    3. 원의 접선 방정식이라서 위 링크를 꼭 참고하세요.

      삭제

욕설이나 스팸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전파거북이]는 선플운동의 아름다운 인터넷을 지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