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6월 29일 금요일

균일 평면파의 의미(Uniform Plane Wave)

[경고] 아래 글을 읽지 않고 "균일 평면파"를 보면 바보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1. 맥스웰 방정식
2. 전자기장 파동 방정식
3. 페이저를 이용한 맥스웰 방정식

[확인] 본 페이지는 exp(-iωt) 시간 약속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초등 전자기학을 배울 때 처음 만나는 전자파 공식은 [그림 1, 2]에 있는 균일 평면파(uniform plane wave)이다. 균일 평면파는 물리적으로는 말이 안되지만 파면(波面, wavefront: 파동 함수가 동일한 값을 가진 면)이 평면(平面, plane)이기 때문에 쉬워서 가장 처음 배우게 된다. 파면이 평면이라는 뜻은 해당 평면에서 전자기파의 위상이 동위상이라는 뜻이다. 평면파는 평면에서 위상이 항상 같기 때문에 [그림 1, 2]처럼 위상을 표현하는 무한 평면이 전자기파 진행 방향으로 움직여야 한다.

[그림 1] 균일 평면파의 파면(출처: wikipedia.org)

Plane wave traveling in the x-direction
Illustration of a Plane wave
[그림 2] 균일 평면파의 진행 모습(출처: wikipedia.org)

하지만, 착각하면 안된다. 평면파는 파면이 평면이므로 전기장(electric field)자기장(magnetic field)이 무한 평면에 걸쳐 존재하므로 포인팅 정리(Poynting's theorem)에 의해 평면파가 실어나르는 평균 전력이 무한대가 된다. 하지만 평균 전력이 무한대인 이런 일은 물리계에서 발생할 수 없으므로, 평면파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상상속에만 있는 이상적인 파동이 된다. 그러면 존재하지도 않는 파동을 왜 배울까? 첫째 이유는 평면파가 다른 어떤 파동보다 단순하여 쉽기 때문이다. 둘째 이유는 푸리에 변환 기법(Fourier transform technique)을 이용하면 임의의 파동을 평면파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평면파를 이해하려면 그 공식을 한 번 유도해 보기가 가장 쉬운 방법이다. 우리의 시작점은 맥스웰 방정식(Maxwell's equations)이다. 편하게 생각하기 위해 공간에 원천(source)은 없다고 가정하고 전기장의 파동 방정식(wave equation)을 유도하면 다음과 같다.

                         (1)

식 (1)에 페이저(phasor)를 적용하면 시간 변화가 주파수로 바뀐 페이저 기반 파동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2)

여기서 파수(wavenumber)라플라시안(Laplacian)은 다음처럼 정의한다.

                          (3)

                         (4)

다음으로 $x, y$축으로는 변화가 없고[$\partial f/\partial x$ = $\partial f/\partial y$ = $0$] 오직 $z$축으로만 변한다고 생각하자. 그러면 식 (2)에서 3차원으로 표현된 파동 방정식을 1차원으로 단순하게 생각할 수 있다.

                         (5)

그러면 미분 방정식(differential equation) (5)를 어떻게 풀까? 미분해도 자기 자신이 되는 지수 함수(exponential function)를 식 (5)에 대입하면 식 (5)가 쉽게 풀린다.

                         (6)

식 (6)에서 미지수인 $k_z$를 미분 방정식에 집어넣어 $k_z$ = $\pm k$로 결정했다. 재미있는 부분은 답이 $\pm k$로서 두 개임이다. $+k$는 $+z$축으로 진행하는 파동, $-k$는 $-z$축으로 진행하는 파동이다. $k_z$의 부호가 $z$축으로 진행하는 방향이 되는 이유는 시간 약속을 $\exp(-i \omega t)$로 했기 때문이다. 또한, $z$가 일정할 때 생기는 파면이 무한 평면이므로 식 (6)은 균일 평면파가 된다. 그런데 식 (5)를 풀 때 식 (6)처럼 답을 가정해서 풀었다. 이런 접근은 정당한가? 물론 정당하며 맞는 접근법이다. 식 (5)는 상미분 방정식(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이기 때문에 미분 방정식의 존재성과 유일성(existence and uniqueness)이 존재해서 어떻게 풀더라도 답은 같다. 혹은 맥스웰 방정식의 유일성 정리(uniqueness theorem)에 의해 어떤 방법으로 풀더라도 답은 같다.
식 (6)의 접근법을 더 확장하면 3차원에 대한 평면파 방정식도 다음처럼 쉽게 얻을 수 있다.

                         (7)

식 (7)의 최종 결과는 매우 재미있다. 최종 결과가 구면(spherical surface)의 방정식이므로 파수를 구면 관점으로 생각해보자.

[그림 3] 구의 표면(출처: wikipedia.org)

파수 $k_x, k_y, k_z$가 구면의 방정식을 만족하므로 가능한 해는 반지름이 $k$인 구면에 있기만 하면 된다. 구면은 모든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전자파는 모든 방향으로 복사될 수 있다.
[그림 1]에 있는 파면(波面, wavefront)에 기준값 개념을 적용하면 식 (7)의 전기장의 진행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그림 4]를 보자.


[그림 4] 파동의 움직임(출처: wikipedia.org)

우리가 눈으로 특정한 파면(예를 들면 꼭대기나 골짜기 등)을 추적해서 움직임을 이해하기 때문에 파동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임을 느낄 수 있다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파동 함수(wave function)를 생각하자.

             (8)

파면 위상의 기준값을 $0$이라 하면, $t$ = $0$일 때 $\Phi$ = $kr - \omega t$ = $k_x x_0 + k_y y_0 + k_z z_0$ = $0$을 만족해야 한다. 만약 $t = \Delta t$가 되면, 기준값 $\Phi$ = $0$을 만족하기 위해 $k_x x_1 + k_y y_1 + k_z z_1$ = $\omega \Delta t$가 되어야 한다. 이 두 관계식을 빼면 다음 방정식을 얻는다.

                         (9)

여기서 $\bar k$는 파수 벡터(wavenumber vector: 전자파가 진행하는 위상을 표현하는 벡터)이다. 식 (9)의 좌변이 0보다 크려면 벡터 $\bar r_1 - \bar r_0$는 벡터 $\bar k$ 방향과 동일한 성분을 반드시 가져야 한다.[∵ 내적(inner product)의 특성을 생각하라.] 즉, $\bar r_1$ = $(x_1, y_1, z_1)$은 $\bar r_0$ = $(x_0, y_0, z_0)$로부터 $\bar k$ = $(k_x, k_y, k_z)$ 방향으로 진행한 형태가 된다. 이 개념이 헷갈리면 3차원 공간의 평면 방정식을 다시 고민해 보라. 이런 특성으로 인해 평면파는 벡터 $\bar k$ 방향으로 진행하며 파면은 무한 평면이 된다. 그래서, 전자파의 공간적 진행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exp(-i \omega t)$ 시간 약속을 주로 사용한다.
3차원 평면파를 미분 관점으로 보면 재미있는 관계를 얻을 수 있다. 먼저 평면파를 $x, y, z$에 대해 미분한다.

                         (10)

식 (10)을 페이저 관점으로 접근하면 미분 연산자 나블라(nabla: $\bar \nabla$)를 벡터로 치환할 수 있다.

                         (11)

그러면 평면파인 경우 미분 방정식인 맥스웰 방정식은 아래처럼 단순한 벡터 방정식이 된다.

                         (12)

식 (12)는 평면파의 성질을 아주 쉽게 증명할 수 있게 해준다.

[그림 5] 평면파의 진행 모습(출처: wikipedia.org)

파수 벡터와 전기장의 내적이 0이므로 파수 벡터와 전기장은 서로 수직이다. 또한, 식 (9)에서 파수 벡터의 방향이 전자파가 진행하는 방향이므로 [그림 5]처럼 전기장[그림 5의 빨간색 ]은 진행 방향에 반드시 수직이다. 자기장[그림 5의 파란색 선]도 전기장과 동일한 성질이 성립한다. 식 (12)의 둘째식과 넷째식에서 다음도 유도할 수 있다.

                         (13)

여기서 $\eta$는 고유 임피던스(intrinsic impedance)이다. 고유 임피던스는 전자기장이 존재하는 매질[정확히는 유전율과 투자율]의 비율이다.

[그림 6] 허공(출처: wikipedia.org)

식 (13)은 전기장과 자기장의 비율인 파동 임피던스(wave impedance)가 고유 임피던스 $\eta$로 일정함을 의미한다. 진공 중에서 계산하면 고유 임피던스 혹은 파동 임피던스는 약 377 Ω[고상하게 $120 \pi$로 표현하기도 하지만 이 값도 근사이다.]도가 된다. 하지만 착각하지 말자. 전기장과 자기장의 비율 단위가 저항이라 해서 공간에 저항이 존재하지는 않는다. 허공을 바라보자. 아무것도 없다. 다시 말해, 전기장과 자기장의 비율로 정하는 파동 임피던스는 평면파인 경우 상수인 고유 임피던스가 된다. 또한 식 (12)에서 전기장, 자기장, 진행 방향[포인팅 벡터(Poynting vector) 방향]이 서로 수직임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전기장과 자기장의 크기와 방향이 벡터 관점에서 서로 종속이다.

Illustration of a Spherical wave
[그림 7] 구면파의 진행 모습(출처: wikipedia.org)

실제로 현실에 존재하는 파동은 [그림 5]의 평면파가 아닌 [그림 7]의 구면파(spherical wave)이다.[∵ 3차원 그린 함수(Green's function)를 풀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관측점(observation point)이 구면파가 발생한 원천점(source point)에서 매우 멀면[혹은 원역장(far field) 조건이면] 이 파동은 평면파로 근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림 8]처럼 태양에서 발생한 빛이 지구에 오면 이 빛은 평면파로 간주할 수 있다.

[그림 8] 태양에서 오는 빛(출처: wikipedia.org)

구면파가 멀어지면 평면파로 근사 가능한 이유는 아래 식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14)

여기서 $r_0$는 첫번째 관측점 거리, $r_1$은 두번째 관측점 거리, 원천점은 $(0, 0, 0)$, $r_0$는 원천점에서 매우 멀다고 가정했다. 식 (14)를 이용해 구면파를 평면파로 근사화하면 다음과 같다.

                         (15)

여기서 분모에 있는 $4 \pi r$은 구면파에 대한 그린 함수(Green's function) 표현식으로 얻는다. 식 (15)에서 모는 $r_0$로 근사화하고 지수 함수 부분은 남겨둔 이유가 무엇일까? 사실 원점에서 매우 멀어지면 $r_0$나 $r_1$은 서로 유사하다. 하지만 지수 함수 부분은 위상(phase)에 해당되므로, 얼마나 값이 큰지는 중요하지 않고 360˚ 범위 내에서 얼마만큼 변하는지가 중요하다. 그래서, 위상을 근사화할 때는 반드시 식 (14)를 이용해야 한다.
이론적으로 균일 평면파를 만드는 방법은 두 가지이다. 먼저 식 (15)처럼 점 원천(point source)을 무한대에 두고 측정하면 평면파가 된다. 즉, 특정 평면에 대해 점 원천이 만드는 전자파의 위상을 재면 평면으로 측정된다. 하지만, 원천이 무한대에 있기 때문에 전자기파의 크기는 $1/r$ 비율로 떨어진다.[∵ 구면파의 전력은 구의 표면에 있다. 구의 표면적은 $4 \pi r^2$이므로, 전자파 전력은 $1/r^2$ 비율로 떨어진다. 따라서 전자기장의 크기는 $1/r$로 감소한다.] 따라서 점 원천이 무한대에 있으면 관측점 전자기장이 0이 되므로 관측이 되려면 이 점 원천의 크기가 무한대로 발산해야 한다.[∵ $r$이 무한대로 갈 때 $A \times 1/r$이 유한한 값이 되려면 $A$는 무한대로 가야 한다.] 예를 들면 태양에서 지구로 오는 빛은 근사적인 평면파이지만 지구에서 무한히 떨어져 있고 무한대의 에너지를 가진 별이 쏘는 빛은 지구에서 이상적인 진짜 평면파가 된다. 물론 이런 빛은 현실에서 존재할 수 없다. 평면파를 만드는 또 한 가지 방법은 전류(electric current) 혹은 자류(magnetic current)를 무한 평면에 무한히 배치하기이다. 이 개념은 식 (16)에 있는 표면 등가의 원리(surface equivalence principle)로 쉽게 증명할 수 있다.

                        (16)

여기서 $\hat n$은 $\bar E_2$, $\bar H_2$가 정의된 영역에 수직으로 들어오는 단위 벡터[혹은 닫힌 영역에 대한 법선 벡터(normal vector: 기준 방향은 닫힌 영역을 뚫고 나가는 방향)의 반대 방향]이다. 식 (16)에서 $\bar E_2, \bar H_2$를 평면파라고 하면 그 원천은 전자기장 $\bar E_2, \bar H_2$처럼 무한 평면에 동위상으로 혹은 주기적 위상으로 존재하는 전류 혹은 자류여야 한다.
균일 평면파가 전파하는 매질에 손실이 있으면 파수 $k$는 다음과 같은 복소수(complex number)가 된다.

                        (17)

여기서 유전율(permittivity)은 $\epsilon$ = $\epsilon' +i \epsilon''$, 투자율(permeability)은 $\mu$ = $\mu' + i \mu''$, $\gamma$는 전파 상수(propagation constant), $\alpha$는 감쇠 상수(attenuation constant), $\beta$는 위상 상수(phase constant)이다. 식 (17)을 식 (6)에 대입해서 $+z$방향으로 진행하는 균일 평면파의 전기장을 표현한다.

                        (18)

평면파가 $+z$축으로 전파됨에 따라 전기장의 진폭은 $e^{-\alpha z}$만큼 줄어들고 위상은 $e^{i \beta z}$처럼 $+z$방향으로 움직인다.

[다음 읽을거리]
1. 평면파를 이용한 푸리에 변환 기법

2012년 6월 27일 수요일

GMail 대용량 첨부파일 제거

GMail에서 제공하지 않는 "대용량 첨부파일 검색 및 제거"는 아래 사이트에서 해결가능하다.

Find Big Mail 사이트에 가서 이메일 주소를 넣고 권한을 위임하면 이메일 첨부자료를 검사해서 10M, 5M, 1M 순으로 라벨(label)을 붙여 대용량 첨부파일을 표시해준다. 검사후에는 Find Big Mail이 가진 이메일 검색권한은 자동으로 삭제된다. 혹시 권한삭제가 의심되면 아래 링크 가서 확인하면 된다.

2012년 6월 25일 월요일

액체 금속(Liquid Metal)을 이용한 휘어지는 안테나(Flexible Antenna)

[경고] 아래 글을 읽지 않고 "휘어지는 안테나"를 보면 바보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1. 가장 쉬운 안테나 이론
2. 입는 안테나


입는 안테나(wearable antenna)에 쓰이는 직물 안테나(textile antenna) 기법을 이용해도 휘어지는 안테나(flexible antenna)를 만들 수 있지만, 또다른 기법으로 액체 금속(liquid metal)을 쓸 수도 있다.

[그림 1] T-1000의 모습(출처: wikipedia.org)

액체 금속이라 하면 고전 영화인 터미네이터 2에 나온 [그림 1]의 T-1000을 떠올릴 수 있지만, 그냥 액체 성질을 가진 금속이라 생각하면 된다. 액체의 성질을 가지므로 당연히 잘 휘어진다.

[그림 2] 액체 금속으로 만든 휘어지는 안테나(출처: [1])

[그림 2]는 액체 금속과 탄성 중합체(elastomer)를 이용해 만든 마이크로스트립[간략하게 μ스트립] 패치 안테나(microstrip patch antenna)이다. 액체 금속이므로 전류를 흘릴 수 있어 안테나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액체이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가 없어 반드시 액체를 담을 용기가 필요하다. [그림 2]에서는 탄성 중합체가 액체 용기 역할을 한다. 탄성 중합체는 점성과 탄성을 동시에 갖는 휘어지는 고분자(polymer with viscoelasticity)라고 생각하면 된다. [1]에서는 탄성 중합체 중에서 PDMS(Polydimethylsiloxane)를 이용해 기판을 만들어 기계적 강도를 얻고 있다. PDMS를 소리나는대로 읽으면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이 된다. 쉽게 얘기하면 PDMS는 접착제로 많이 쓰는 투명한 실리콘(silicone)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실리콘은 규소를 의미하는 실리콘(silicon)이 아니고 규소 수지를 뜻하는 실리콘(silicone)이다. 그러니 헷갈리지 않는다. 우리말로는 분명 같지만, 영어로는 확실히 틀리다. 3.45 GHz 근처에서 PDMS의 유전율(permittivity)은 3.0, 손실 탄젠트(loss tangent)는 0.05 정도가 된다. 액체 금속으로 수은(mercury)을 떠올릴 수 있지만, 독성이 있고 구슬처럼 덩어리가 되는 성질이 있어 휘어지는 안테나 소재로는 적합하지 못하다. 그래서 [1]에서는 EGaIn(eutectic Gallium-Indium: 공융 갈륨–인듐) 합금을 이용해서 안테나를 제작했다. EGaIn은 어는점이 15.5 ℃여서 실온에서 액체 금속이 된다[1]. 또한, EGaIn은 얇은 산화막이 저절로 생겨 수은과는 다르게 얇은 덩어리가 되지 않고 하나의 액체 금속 역할을 한다. EGaIn의 전도도(conductivity)는 $3.4 \times 10^6$ S/m이다. 구리의 전도도가 $5.96 \times 10^7$ S/m이므로, EGaIn의 전도도는 구리보다 나쁘다.

[그림 3] 액체 금속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제작 방법(출처: [1])

하지만, EGaIn으로 패치 안테나와 같은 구조를 만들 때는 문제가 있다. 액체 금속이 패치 내부를 불균일하게 채우고 기포도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패치구조를 특별히 설계해야 한다. [그림 3]에서는 패치 내부에 PDMS 기둥을 잘 세워서 액체 금속이 흐를 수 있는 구불구불한 작은 길(serpentine microchannel)을 만들어 액체 금속이 골고루 잘 퍼지도록 설계했다.

[그림 4] 액체 금속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의 반사도 특성(출처: [1])

[그림 4]는 [그림 3]의 방법으로 제작해 측정한 액체 금속 μ스트립 패치 안테나의 반사도 특성을 보여준다. 안테나가 곡률 반경(radius of curvature) 12.7 mm로 휘어졌을 때 안테나의 반사도가 좋도록 설계했음을 볼 수 있다.

[참고문헌]
[1] G. J. Hayes, J.-H. So, A. Qusba, M. D. Dickey, and G. Lazzi, "Flexible liquid metal alloy (EGaIn) microstrip patch antenna," IEEE Trans. Antennas Propagat., vol. 60, no. 5, pp. 2151–2156, May 2012.
[2] T. Meister, K. Ishida, C. Carta, N. Münzenrieder, and F. Ellinger, "Flexible electronics for wireless communication: a technology and circuit design review with an application example," IEEE Microw. Mag., vol. 23, no. 4, pp. 24–44, Apr. 2022.

[다음 읽을거리]
1. 신기한 투명 안테나

2012년 6월 16일 토요일

안테나를 입다(Wearable Antenna)

[경고] 아래 글을 읽지 않고 "입는 안테나"를 보면 바보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1. 가장 쉬운 안테나 이론
2. 저항


유비쿼터스(어디에나 존재함, ubiquitous)라는 종교성 짙은 용어가 인기를 얻으면서 입는 안테나(wearable antenna)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그림 1]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출처: wikipedia.org)

유비쿼터스는 신학 용어로써 조금 확대해석하면 어디에나 존재하는(omnipresence or ubiquity) 신이란 의미를 가진다. 이를 IT(Information Technology) 분야에 적용하면 어디에나 통신망이 존재해서 사람들이 자유롭게 통신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유비쿼터스가 가능하려면 반드시 무선 통신 기술이 세부 소자에까지 접목이 되어야 한다. 그래서, 유비쿼터스를 연구하는 사람들은 소형 소자용 무선 통신망(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을 집중적으로 고민한다. 무선망은 전자파(electromagnetic wave)를 이용해 정보(information)를 전달하므로, 유비쿼터스용 소자는 반드시 안테나(antenna)를 장착해야 한다. 하지만, 유비쿼터스란 개념은 어디에나 존재함을 가정하므로, 유비쿼터스용 소자는 어디에나 장착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유비쿼터스용 무선 통신 소자는 눈에 보이지 않게 은밀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RF(Radio Frequency) 소자는 집적화를 통해 작게 만들 수 있지만, 안테나는 물리적 한계로 인해 일정한 크기 이하로 만들기는 이론적으로 불가능하다.[∵ 한계를 정확히 알려면 소형 안테나(small antenna) 이론을 봐야 한다.] 제대로된 유비쿼터스가 이루어지려면 안테나를 감추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경우마다 다르겠지만, 특히 중요한 응용인 개인용 통신에 집중하자. 사람들이 불편하지 않게 유비쿼터스용 안테나를 붙일 수 있을까? 해결책은 간단하다. 우리는 모두 옷을 입기 때문에, 옷의 표면이나 내부에 안테나를 감출 수 있다면 안테나 장착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그림 2] 조끼 안테나(출처: wikipedia.org)

군용 입는 안테나는 이미 개발되어 제품 판매가 되고 있다. 대표적인 제품이 [그림 2]의 조끼 안테나이다. 정식 명칭은 TVAS(Tactical Vest Antenna System)이며 미국에 있는 웨어러블 안테나 테크(Wearable Antenna Technologies, Inc.)에서 군용으로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다. 조끼 안테나는 무게가 250 g 정도로 경량이며, 2012년 경우 67만원[= $585]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그림 2]의 조끼 안테나는 군인이 사용하기에는 무난한 크기와 무게를 가지지만, 민간인에게는 도저히 입게 할 수 없는 크기와 무게를 가진다.[군용 통신 주파수는 주로 30 MHz 근방이기 때문에 안테나가 커질 수밖에 없다.]

[그림 3] 전도성 직물인 겁나게 잘 막아(출처: lessemf.com)

그래서, 옷을 만들 때 쓰는 직물을 이용한 안테나(textile antenna)가 유비쿼터스를 위한 이상적인 안테나로 생각된다. 현실적으로 옷감은 전류(electric current)를 잘 흘리지 못하기 때문에[∵ 옷감이 유전체(dielectric)임을 기억하자.] 직물 표면에 금속 성분을 도포한 전도성 직물(conductive fabric)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전도성 직물은 미국 레스 EMF(Less EMF, Inc.)에서 만든 겁나게 잘 막아(ShieldIt Super)이다. 겁나게 잘 막아는 나일론(nylon)에 니켈(nickel)과 구리(copper)를 도포해서 만든다. 아래는 대략적인 규격이다.
  • 두께: 0.17 mm
  • 폭: 35.6 cm[= 14인치]
  • 표면 저항: 0.5 Ω/sq
  • 가격: 2012년 경우 길이 30 cm[= 1피트]당 만원[= $9]
  • 특징: 한쪽면에 접착제가 있어 어떤 물질에든 쉽게 붙일 수 있음

[그림 4] 플렉트론(출처: lairdtech.com)

이외에도 레이어드 테크(Laird Technologies, Inc.)에서 만든 플렉트론(Flectron)이 유명하다. 플렉트론은 나일론 직물 위에 선택적으로 구리 혹은 니켈/구리 도포를 할 수 있다.
  • 표면 저항: 0.07 Ω/sq
  • 가격: 2012년 경우  길이 30 cm[= 1피트] 당 2.3만원[= $20]
전도성 직물의 표면 저항(sheet resistance)을 표시할 때 쓰는 단위가 좀 이상하다. 단위 Ω/sq을 우리말로 하면 정사각형당 옴(Ohms per square)이다.

[그림 5] 표면 저항(출처: wikipedia.org)

단위 Ω/sq의 의미를 이해하려면 다음의 저항 관계식을 고려해야 한다.

                       (1)

여기서 $R$은 저항(resistance), $R_s$는 표면 저항(sheet resistance)[7], $\sigma$는 전도도(conductivity)이다. 정사각형이면 $L$ = $W$가 성립하므로 식 (1)로부터 정사각형에서 $R$ = $R_s$임을 알 수 있다. 즉, [그림 5]의 오른쪽 구조의 측면 전체에 저항계(ohmmeter)를 연결해 잰 저항은 모양이 정사각형이므로, Ω/sq로 표현한다. 단위 Ω/sq는 우리가 보통 쓰는 저항과 다를까? 측정 결과는 모두 저항이지만 분명히 다르다. 보통 저항은 다음과 같은 저항계를 이용하여 점 접촉 형태로 잰다.[∵ 측정할 때는 빨간색 침과 검정색 침을 각각 ($+$)와 ($-$) 전압에 사용한다.]

[그림 6] 저항계(출처: wikipedia.org)

[그림 3, 4]와 같은 전도성 직물은 [그림 6]으로 재면 오차가 너무 크다. 그래서, [그림 5]의 오른쪽 구조처럼 $t$와 $W$가 이루는 평면에 금속막대를 놓고 이 막대에 [그림 6]의 저항계를 달아 잰다. 물론 측정체는 정사각형이어야 한다. 이런 방식으로 표면 저항을 잼을 명확히 하기 위해 Ω/sq 단위를 쓴다.
전도성 직물을 사용해 만든 직물 안테나의 반사도(reflection coefficient) 결과를 보자. 일반적인 마이크로스트립[간략하게 μ스트립] 패치 안테나(microstrip patch antenna)와 매우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전도성 직물로 안테나를 만들더라도 충분히 복사체 역할을 한다는 뜻이다.

[그림 7] 직물 안테나의 반사도 특성(출처: [1])

[그림 8] 양털로 만든 펠트(출처: wikipedia.org)

참고문헌 [1]에 소개한 직물 안테나는 [그림 8]의 펠트(felt)를 유전체 기판으로 사용했고, 패치(patch)겁나게 잘 막아, 접지면과 μ스트립 선로(microstrip line)플렉트론으로 만들었다.

[그림 9] 펠트 상에 형성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출처: [2])

통상적으로 펠트의 유전율은 1.22, 손실 탄젠트(loss tangent)는 0.016 정도로 계산한다[2]. 펠트의 유전율 측정 결과는 [그림 10]에서 볼 수 있다.

[그림 10] 펠트의 유전율 측정 결과(출처: [2])

직물 안테나 기판으로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옷감은 합성 섬유인 플리스(fleece)이다. 플리스는 물과 친화력이 적어 유전율이 낮고 손실 탄젠트도 적다. 대충 보면 플리스의 유전율은 1.25, 손실 탄젠트는 0.019 정도 된다[1].

[그림 11] 플리스로 만든 담요(출처: wikipedia.org)

이외에도 다양한 입는 안테나가 [3], [4]에 소개되어 있다.

[그림 12] 전도성 나일론으로 만든 나선형 안테나(출처: [4])

전도성 나일론(conducting nylon)은 뒷면에 접착제가 있어 다양한 옷에 쉽게 붙일 수 있다. [그림 12]에서는 전도성 나일론으로 만든 나선형 안테나(spiral antenna)를 볼 수 있다. 전도성 나일론은 고온이 필요한 납땜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저온에서 작업이 가능한 전도성 에폭시(conducting epoxy)전송선(transmission line)을 붙인다.

[그림 13] 실제 장착 전도성 나일론 이용 나선형 안테나의 반사도 특성(출처: [4])

[그림 14] 실제 장착 전도성 나일론 이용 나선형 안테나의 복사 패턴(출처: [4])

입는 안테나의 반사도(reflection coefficient)복사 패턴(radiation pattern)은 어떨까? [그림 13, 14]는 [그림 12]의 안테나를 실제 입은 경우의 반사도와 복사 패턴 특성을 보여준다. 반사도도 -10 dB 이하로 잘 내려갔으며 복사 패턴도 정상적이므로, [그림 12]는 무선 통신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림 15] 전도성 실로 만든 나선형 안테나(출처: [4])

나선형 안테나는 [그림 15]처럼 전도성 실(conducting thread)을 이용해서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도성 실을 재봉틀에 끼워 박음질을 하면 옷에 나선형 패턴이 생긴다. [그림 15]를 보면 전도성 에폭시를 이용해 밸룬(balun)을 나선형 안테나에 붙였다. 밸룬은 동축선(coaxial cable)을 나선형 안테나에 효과적으로 붙이기 위해 사용하였다.

[그림 16] 전도성 페인트로 만든 나선형 안테나(출처: [4])

전도성 페인트(conducting paint)는 은으로 만들기 때문에 전도도가 매우 좋으며 손쉽게 안테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림 16]은 전도성 페인트를 이용해 형성한 나선형 안테나를 보여준다. 나선형 안테나와 동축선을 연결해 주는 밸룬(balun)도 볼 수 있다. 


[그림 17] e섬유를 이용한 안테나 제조 공정(출처: [5])


[그림 18] e섬유 안테나와 PDMS의 결합 방법(출처: [5])

참고문헌 [5]에서는 일반 섬유에 은을 입힌 e섬유(e-fiber)를 이용해 PDMS(Polydimethylsiloxane) 기판 상에 μ스트립 패치 안테나(microstrip patch antenna)를 만드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e섬유는 [6]에 있는 호박색 가닥 섬유(Amberstrand Fiber)를 사용하였다. PDMS는 대표적인 탄성 중합체(elastomer)로서 심하게 휘어질 수 있는 유전체 기판이다. 먼저 [그림 17]처럼 e섬유를 이용해서 전자 재봉틀로 안테나 패턴을 만든다. 이때 강도를 높이기 위해 자이론(Zylon) 섬유를 첨가하여 사용했다. 자이론은 방탄 섬유의 대표격인 케블라(Kevlar)보다 강도가 1.6배 더 좋다. 이렇게 만들어진 e섬유 안테나를 열과 접착제를 이용해 유전체 기판인 PDMS에 붙이는 과정이 [그림 18]에 소개되어 있다. e섬유 안테나와 PDMS 기판을 동시에 사용한 최종 결과도 [그림 18]에서 볼 수 있다.

[그림 19] 시험 중인 구명 조끼와 입는 안테나(출처: [8])

현재 입는 안테나 연구는 돈 되는 상업적 용도보다 다가오는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기초 기술로 연구 중이다. 이런 상황에서 나온 재미있는 결과가 [8]에 소개되어 있다. [8]에서는 입는 안테나를 구명 조끼에 넣어 조난자 탐색 범위를 전지구적으로 넓혔다. 또한 구명 조끼는 인명에 관련된 장비이므로 단가보다는 구조의 용이성이 훨씬 더 중요하다. 그래서 구명 조끼와 입는 안테나의 결합은 정말 좋은 시도가 된다. 구명 조끼 응용에서 안테나를 지지하는 직물은 가벼워야 하며 물이 거의 침투하지 않는 방수 특성을 가져야 한다. 안테나를 구성하는 전도체는 전도성 잉크(conductive ink)를 이용하여 만들었다. 전도성 잉크는 잉크젯 프린터(inkjet printer)의 잉크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안테나 제작에 매우 유용하고 융통성이 있다. 실제 사용을 염두에 둔다면 전도성 잉크 안테나와 직물 기판의 기계적 강도도 매우 중요하다. 쉽게 말하면 잉크와 직물이 서로 잘 붙어 있어야 한다. 입는 안테나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려면 전도성 잉크가 인쇄된 직물을 다시 얇은 유전체 막으로 도포해주면 된다. [그림 19]에서 안테나의 구동 주파수는 121.5 MHz와 406 MHz이다. 접지면이 없는 경우 406 MHz에서 안테나 이득이 -5~4 dBi 정도 된다.

[참고문헌]
[1] C. Hertleer, A. Tronquo, H. Rogier, I. Vallozzi, and L. Van Langenhove, "Aperture-Coupled Patch Antenna for Integration Into Wearable Textile Systems," IEEE Antennas Wireless Propagat. Lett., vol. 6, pp.392–395, 2007.
[2] M. Mantash, A.-C. Tarot, S. Collardey, and K. Mahdjoubi, "Investigation of Flexible Textile Antennas and AMC Reflectors," Int. J. Antennas Propagat., vol. 2012, 10 pages, 2012.
[3] C. Cibin, P. Leuchtmann, M. Gimersky, R. Vahldieck, and S. Moscibroda, "A flexible wearable antenna," 2004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Antennas and Propagation, vol. 4, pp. 3589–3592, June 2004.
[4] J. C. G. Matthews and G. Pettitt, "Development of flexible, wearable antennas,"  European Conference on Antennas and Propagation 2009, pp.273–277, March 2009.
[5] Z. Wang, L. Zhang, Y. Bayram, and J. L. Volakis, "Embroidered conductive fibers on polymer composite for conformal antennas," IEEE Trans. Antennas Propag., vol. 60, no. 9, pp. 4141–4147, Sept. 2012.
[7] RF Sheet ResistanceMicrowave Encyclopedia, 2011.
[8] J. Lilja, V. Pynttari, T. Kaija, R. Makinen, E. Halonen, H. Sillanpaa, J. Heikkinen, M. Mantysalo, P. Salonen, and P. de Maagt, "Body-worn antennas making a splash: lifejacket-integrated antennas for global search and rescue satellite system," IEEE Antennas Propag. Mag., vol. 55, no. 2, pp. 324–341, April 2013.
[9] 정재영, "전도성 섬유 안테나 기술 동향", 한국전자파학회 전자파기술, 제24권, 제4호, pp. 64–70, 2013년 7월.
[10] M. I. Astrakhan, "Reflection and screening properties of plane wire grids," Radio Eng., vol. 23, no. 1, pp. 76–83, 1968.

[다음 읽을거리]
1. 휘어지는 안테나